자베즈 '현대증권 지분 매각' 정보유출 의혹

블록딜 전 공매도 물량
평소보다 15배 이상 급증
사모펀드(PEF) 자베즈파트너스가 현대증권 보유지분 전량(9.54%)을 블록딜(시간외 대량매매) 방식으로 장 마감 직후 처분했던 지난 7일 현대증권의 공매도 물량이 평소보다 15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블록딜 관련 정보가 사전 유출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증권업계에서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증권업계에 따르면 자베즈는 지난 7일 장 마감 후 보유하고 있던 현대증권 지분 2257만7400주를 블록딜 방식으로 매각했다. 이에 앞서 같은 날 장중 현대증권을 공매도한 물량은 71만9682주에 달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이 같은 공매도 물량은 블록딜 하루 전날인 지난 6일(4만6469주)보다 15배, 이틀 전인 5일(2만7578주)보다는 25배가량 많은 것이다. 지난달 하루 평균 공매도 수량(4만7496주)보다도 15배 정도 급증한 것이다.

공매도는 기업 주가가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는 투자자가 주식을 빌려 매도한 뒤 주가가 더 떨어지면 매수해서 빌린 주식을 갚아 차익을 얻는 투자 방식이다.

증권업계에선 기관 등 ‘큰손’ 투자자들이 자베즈의 블록딜 소식을 미리 알고 장중에 대거 공매도에 나선 것 아니냐는 의혹을 내놓고 있다. 당시 자베즈는 블록딜 가격 결정을 위해 진행한 수요예측에서 일반적인 할인율(5% 안팎)보다 훨씬 큰 12.7%의 할인율을 제시해 다음날 장 개시 후 현대증권 주가 급락이 확실시됐기 때문이다.증권업계 관계자는 “공매도 물량이 평소보다 15배 이상 많았던 것은 우연으로 보기 힘들다”며 “사전 정보유출 가능성을 충분히 의심할 만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실제 공매도 투자자들은 큰 차익을 얻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블록딜 다음날인 8일 현대증권 주가는 전날보다 7.19% 하락했고 11일(-2.58%)과 12일(-2.08%)에도 약세를 이어갔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매각 과정에서 미공개 정보를 이용한 정황이 있으면 조사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민지혜/이유정 기자 spop@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