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투자전쟁] 기지개 켜는 일본공적연금…대체투자 시동
입력
수정
지면A4
모리 신이치로 기획과장 "채권 줄이고 주식 늘려"

2014년 초까지 GPIF는 ‘잠자는 공룡’이었다. 하지만 지난해에는 2001년 출범 이후 가장 극적인 한 해를 보냈다. 사상 최고의 수익과 최악의 손실을 동시에 맛봤다. 작년 3월 발표한 2014년 연간 수익은 15조3000억엔(약 145조원), 연간 수익률은 12.3%로 사상 최고의 성과를 냈다. 8개월 뒤인 11월 발표한 2015년 2분기(7~9월) 수익률은 역대 최저치인 -5.59%.
극과 극을 오간 성적은 2014년 말 전격적으로 바꾼 자산 배분 비중 때문이다. 운용자산의 60%를 차지하던 채권 투자를 35%로 줄이고 국내외 주식투자 비중을 25%까지 늘렸다. 대체투자도 운용자산의 5% 한도로 시작했다.
GPIF의 변신은 ‘거대 공룡’답지 않게 빨랐다. 최고투자책임자(CIO) 자리를 신설하고 영국계 사모펀드 콜러캐피털 출신인 미즈노 히로미치를 임명했다. 대체투자 운용역도 5명 뽑았다. 모리 과장은 “더 이상 채권운용만으로는 국민의 노후자산을 관리할 수 없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도쿄=이현진 기자 app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