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수형 ELS를 바라보는 우리의 자세
입력
수정
지면B5
KB국민은행 스타테이블
![](https://img.hankyung.com/photo/201601/AA.11202443.1.jpg)
불안한 중국 경제 여파에 홍콩증시가 포함돼 있다는 것은 한국의 주가연계증권(ELS) 투자자들에게 큰 걱정거리다. 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홍콩H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한 지수형 ELS에 가입한 이들이 많은데, 홍콩H지수 급락으로 많은 상품이 녹인(knock-in·원금손실) 구간에 진입했기 때문이다.많은 사람의 우려처럼 녹인 구간에 진입한 ELS는 무조건 원금 손실이 발생하는 것일까. ELS 투자자들도 복잡한 상품 구조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한 채 가입하는 경우가 많다 보니 이 같은 오해를 하기 쉽다.
통상 3년을 만기로 발행되는 지수형 ELS는 4개월 혹은 6개월마다 조기 상환 기회를 준다. 최초 기준가격과 매 4개월 혹은 6개월 시점의 가격을 비교해 특정 조건(배리어)보다 높을 경우다.
녹인 조건이 최초 기준가격의 50%이고 조기 상환을 위한 조건이 6개월마다 95%-90%-85%-80%-75%-70%라고 가정해보자. 만약 기초자산인 특정 지수가 가입 당시보다 50% 밑으로 떨어졌다고 해서 무조건 원금손실이 발생하는 건 아니다. 하지만 녹인 구간에 진입했다고 무조건 원금손실이 발생하는 건 아니다. 만기 때까지 기다렸다가 만기 때 기초자산 가격이 70% 이상으로 회복할 경우는 원금은 물론이고 약정된 수익(쿠폰)까지 받을 수 있다. 만기 때까지 기다리지 않더라도 조건을 충족하면 조기상환 될 수 있다.따라서 홍콩H지수가 만기 때까지 최종 배리어 조건(위의 경우는 70%) 이상으로만 회복된다면 홍콩H지수를 기초로 한 ELS 투자자의 돈은 안전하다. 물론 70% 이하로 떨어진 상태에서 만기를 맞는다면 기준가 대비 자산 하락폭만큼 원금손실이 발생한다.
원금손실은 투자자에게 커다란 상처를 남기는 경험이다. 하지만 녹인 구간에 진입했다고 해서 벌써 이 같은 상처를 걱정하긴 이르다. 그보다는 본인이 가입한 상품의 손익구조를 한번 더 확인해 상황을 정확하게 인지하는 것이 현명한 투자자의 모습일 것이다.
한승우 < 국민은행 강남스타PB센터 팀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