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 암세포 증식 막는 방법 발견
입력
수정
지면A19
국내 연구진이 빠르게 분열하는 종양 안에서 암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물질을 억제하는 방법을 알아냈다.
한국연구재단은 14일 백성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연구진이 암 유발 및 전이물질로 알려진 히프원(HIF-1) 단백질을 조절하는 방법을 알아냈다고 발표했다.연구진은 몸 안에서 특정 단백질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메틸화’라는 메커니즘에 주목했다. 메틸화가 일어나면 암 발생과 전이에 관여하는 단백질이 분해되면서 암이 억제되지만 반대로 메틸화가 억제되면 암 발생과 전이가 촉진된다. 연구진은 히프원 단백질의 메틸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유전자를 조작한 돌연변이 쥐를 만들어 살펴본 결과 암에 걸린 일반 쥐보다 종양 크기가 더 크고 주변 혈관을 더 많이 생성한 것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또 유방암과 전립선암을 촉진하는 LSD1이라는 단백질이 히프원 단백질과 결합하면서 암 발생과 전이를 오히려 촉진한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연구재단은 새로운 암 치료제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평가했다.
이번 연구는 백 교수가 논문의 교신저자로 참여했고 같은 학교 남혜진 연구조교수, 김윤호 박사후연구원이 공동 제1저자로 참여했다.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는 지난달 13일자 인터넷판에 이번 연구성과를 소개했다.
박근태 기자 kunta@hankyung.com
한국연구재단은 14일 백성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연구진이 암 유발 및 전이물질로 알려진 히프원(HIF-1) 단백질을 조절하는 방법을 알아냈다고 발표했다.연구진은 몸 안에서 특정 단백질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메틸화’라는 메커니즘에 주목했다. 메틸화가 일어나면 암 발생과 전이에 관여하는 단백질이 분해되면서 암이 억제되지만 반대로 메틸화가 억제되면 암 발생과 전이가 촉진된다. 연구진은 히프원 단백질의 메틸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유전자를 조작한 돌연변이 쥐를 만들어 살펴본 결과 암에 걸린 일반 쥐보다 종양 크기가 더 크고 주변 혈관을 더 많이 생성한 것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또 유방암과 전립선암을 촉진하는 LSD1이라는 단백질이 히프원 단백질과 결합하면서 암 발생과 전이를 오히려 촉진한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연구재단은 새로운 암 치료제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평가했다.
이번 연구는 백 교수가 논문의 교신저자로 참여했고 같은 학교 남혜진 연구조교수, 김윤호 박사후연구원이 공동 제1저자로 참여했다.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는 지난달 13일자 인터넷판에 이번 연구성과를 소개했다.
박근태 기자 kunt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