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연공서열 임금체계로는 청년 실업 못막는다"
입력
수정
지면A39
박병원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이 어제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연공서열형 임금체계 개편을 거듭 촉구했다. 생산성과 무관하게 근속연수에 비례해서 매년 호봉이 자동으로 올라가는 임금구조를 비롯, 할증률 50%를 노린 연장근로와 장시간 근로 등으로는 청년들에게 취업기회를 주지 못한다는 것이다. 박 회장은 일한 만큼 성과에 따라 임금을 받도록 해야 일자리가 나오고 노동시장의 이중구조도 해소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백번 옳은 말이다.
한국은 아직도 연공서열형 임금체계가 압도적이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매년 호봉이 자동으로 1~2단계 오르는 호봉제를 도입하고 있는 기업이 근로자 100명 이상 기업 중 71.9%, 300명 이상 기업에선 79.7%나 된다. 그 결과 장년층의 고임금이 고착화됐다. 제조업에서 근속연수가 20~30년인 근로자의 평균 임금이 1년 미만 신입사원의 3.13배에 달한다. 일본(2.41배) 독일(1.91배) 영국(1.56배)보다 훨씬 높다. 한국 신입사원의 연봉이 일본의 1.39배나 되는데도 이 모양이다.생산성과 임금 간 격차는 갈수록 벌어진다. 한국의 노동생산성은 미국의 48%, 독일의 52%, 일본의 79%에 불과하다는 게 OECD의 평가(2014년)다. 특히 한국은 55세 이상 근로자는 34세 이하 근로자에 비해 임금은 3.02배인 반면 생산성은 60%에 그친다는 게 경총의 분석이다. 한국의 긴 근로시간도 낮은 생산성 때문이다. 더구나 정규 근로시간에는 일을 슬슬 해 일감을 연장근로와 휴일근로로 넘기는 것이 현실이다. 노동단체들은 근로시간 단축을 요구하면서도 임금은 못 줄인다고 억지를 쓴다.
지금의 임금체계는 전체 근로자의 10% 정도인 조직 근로자의 기득권만 보호할 뿐이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격차가 확대되고 청년들의 취업 진입장벽은 점점 높아간다. 장년층도 고용이 불안해진다. 성과에 따라 임금을 받아야 일할 능력이 있는 사람이 더 일할 수 있다. 이미 노동개혁은 물 건너갔다. 연공서열 임금체계조차 못 바꾸면 청년실업을 막지 못한다.
한국은 아직도 연공서열형 임금체계가 압도적이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매년 호봉이 자동으로 1~2단계 오르는 호봉제를 도입하고 있는 기업이 근로자 100명 이상 기업 중 71.9%, 300명 이상 기업에선 79.7%나 된다. 그 결과 장년층의 고임금이 고착화됐다. 제조업에서 근속연수가 20~30년인 근로자의 평균 임금이 1년 미만 신입사원의 3.13배에 달한다. 일본(2.41배) 독일(1.91배) 영국(1.56배)보다 훨씬 높다. 한국 신입사원의 연봉이 일본의 1.39배나 되는데도 이 모양이다.생산성과 임금 간 격차는 갈수록 벌어진다. 한국의 노동생산성은 미국의 48%, 독일의 52%, 일본의 79%에 불과하다는 게 OECD의 평가(2014년)다. 특히 한국은 55세 이상 근로자는 34세 이하 근로자에 비해 임금은 3.02배인 반면 생산성은 60%에 그친다는 게 경총의 분석이다. 한국의 긴 근로시간도 낮은 생산성 때문이다. 더구나 정규 근로시간에는 일을 슬슬 해 일감을 연장근로와 휴일근로로 넘기는 것이 현실이다. 노동단체들은 근로시간 단축을 요구하면서도 임금은 못 줄인다고 억지를 쓴다.
지금의 임금체계는 전체 근로자의 10% 정도인 조직 근로자의 기득권만 보호할 뿐이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격차가 확대되고 청년들의 취업 진입장벽은 점점 높아간다. 장년층도 고용이 불안해진다. 성과에 따라 임금을 받아야 일할 능력이 있는 사람이 더 일할 수 있다. 이미 노동개혁은 물 건너갔다. 연공서열 임금체계조차 못 바꾸면 청년실업을 막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