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이라면 종신보험 통한 가족생활보장에 관심을
입력
수정
지면B5
100세 시대 평생 든든
![](https://img.hankyung.com/photo/201602/AA.11326319.1.jpg)
가족생활보장은 가장의 갑작스런 사망 시 유가족을 위해 준비하는 자산을 말한다. 종신보험, 정기보험 등을 통해 가족생활보장, 즉 사망보험금을 확보할 수 있다.건강생활보장은 각종 재해와 질병으로 인한 치료비 마련을 위해 준비하는 자산으로, CI보험이나 실손의료보험을 통해 준비할 수 있다. 노후생활보장은 은퇴 후 노후생활을 위한 은퇴자금 준비를 의미한다. 연금보험이 대표적이다.
불확실한 미래에 대비하기 위해 모든 보장자산을 준비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하지만 소득은 한정돼 있고 지출 또한 무작정 줄일 수 없기 때문에 소득 규모에 맞는 보장자산을 준비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그렇다면 어떤 보장부터 준비하는 것이 좋을까? 가장이라면 종신보험을 통해 가족생활보장은 물론 건강생활보장과 노후생활보장까지 함께 준비하는 게 바람직하다.종신보험을 통한 가족생활보장 준비는 크게 네 가지 효용성이 있다.
첫째, 유가족이 안정된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장자산을 확보할 수 있다. 가장이 경제활동기에 갑자기 떠나면 가족들은 정신적 고통과 함께 수입 단절 등 경제적 어려움에 시달리게 된다. 이때 종신보험을 활용하면 가장 유고 시 사망보험금을 받을 수 있어 남겨진 가족에게 큰 힘이 된다.
다음으로 본인은 물론 가족의 건강생활보장도 준비할 수 있다. 종신보험 가입 시 CI(중대질병), 재해장해, 실손의료비 등 특약을 선택하면 각종 재해, 질병 등에 대비할 수 있다. 최근에는 미래에 지급할 사망보험금을 재원으로 의료비를 미리 받을 수 있는 종신보험도 나와 고객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세 번째, 종신보험의 연금전환기능을 통해 노후생활보장 준비도 가능하다. 가장의 은퇴시점에 종신보험의 적립금을 연금으로 전환해 은퇴생활자금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요즘에는 은퇴 이후 사망보험금의 일부를 생활비로 앞당겨 받을 수 있는 종신보험도 등장해 장수리스크에 더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게 됐다.
마지막으로 종신보험은 상속세 부담이 큰 자산가에게 유용하다. 상속자산 규모를 예측하고 알맞은 보장크기를 정해 종신보험에 가입하면 사망보험금을 상속세 재원으로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언제 닥칠지 모르는 위험에 대비해 보장을 준비하는 것은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가족구성원, 연령, 소득수준 등에 따라 다르지만 보장자산은 일반적으로 가장 연소득의 5배 수준으로 확보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이현주 < 교보생명 광화문노블리에센터 웰스매니저(W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