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몰리는 부산] 부산, 세수 2위로…수출 늘고 혁신도시에 기업 '밀물'

인천에 뺏긴 자리 15년 만에 탈환
인천보다 세수가 적어 ‘제2의 도시’ 체면을 구겼던 부산은 2013년 인천을 제치고 광역시 세수 2위를 탈환했다. 1998년 이후 15년 만이다. 자동차부품, 신발 등을 중심으로 한 수출 제조업체의 실적이 크게 좋아지고 주요 금융 공기업이 2012년부터 부산혁신도시로 이전한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6일 국세청 국세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말 집계가 끝난 2014년 귀속 세수 실적에서 부산이 7조6655억원을 기록, 5조8079억원에 그친 인천을 제치고 광역시 세수 기준으로 서울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2013년 인천을 제치고 15년 만에 세수 2위 광역시를 차지한 뒤 2년 연속 2위에 오른 것이다.부산 인구는 2015년 말 현재 355만명, 인천은 298만명으로 부산이 더 많지만 2012년까지 인천에는 다수의 대기업이 포진한 반면 부산에는 이렇다 할 대기업이 없었던 게 두 도시의 세수 격차를 낳은 주된 원인으로 분석된다. 인천에는 포스코건설 포스코엔지니어링 등 포스코 계열사는 물론이고 한국GM 두산인프라코어 등 다수의 대기업 계열사가 본사를 두고 있다. 반면 부산에 본사를 둔 대기업 및 계열사는 비엔그룹의 대선주조 등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부산 문현동에 혁신도시가 들어서면서 상황이 바뀌고 있다. 문현혁신지구에는 2012년 이후 한국자산관리공사 주택금융공사 예탁결제원 대한주택보증 한국거래소 등 금융 분야 공기업이 대거 이전해왔다.

임원기 기자 wonk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