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식 투자전용펀드 10년 비과세 혜택 누려라
입력
수정
지면B1
재테크 승부수
해외주식 60% 이상 담은 펀드…매매익·환차익 세금 안 물어
내년 말까지 한시적으로 가입
기존 해외펀드는 적용 안돼…해지 후 재가입 절차 거쳐야
소득 없는 배우자·자녀 명의 허용…비과세 증여 수단으로 활용도
![](https://img.hankyung.com/photo/201603/AA.11398341.1.jpg)
이 가운데 지난달 29일 출시된 해외주식 비과세펀드가 주목받고 있다. ISA와 달리 가입 조건이 까다롭지 않아 자산가들도 투자 개설 여부를 저울질하고 있다. 해외주식 비과세펀드는 2007년 6월 도입됐다가 2009년 말 사라진 제도가 부활한 것이다. 증권사와 은행 지점, 인터넷 등을 통해 해외주식에 60% 이상 투자하는 해외주식형펀드에 가입하면 비과세 혜택을 볼 수 있다. 가입자 1인당 3000만원까지 투자한 금액에 대해선 10년 동안 얼마의 수익이 나든 차익에 대해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된다. 기존 해외주식형펀드는 매매차익의 15.4%를 세금으로 내야 했다. 2017년 말까지만 한시적으로 가입할 수 있다.해외주식형펀드 비과세 혜택은 세법상 기존에 가입한 해외주식형펀드에 적용되지 않는다. 비과세 혜택을 받고자 한다면 기존 펀드를 해지하고 재가입하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1603/AA.11402339.1.jpg)
전문가들은 투자금을 지역별·산업유형별로 여러 펀드에 철저히 분산 투자할 것을 권하고 있다.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않아야 돌발 악재가 터졌을 때 낭패를 보지 않는다는 논리다. 해외주식 비과세펀드는 지난달 29일 기준으로 38개 자산운용사에서 310개 펀드가 나왔다. 이후에도 새로운 상품이 꾸준히 쏟아지고 있다. 수수료가 싼 상장지수펀드(ETF) 중 일부도 비과세 계좌에 담을 수 있다. 범진철 국민은행 WM상품부 부장은 “기존 해외펀드를 비과세펀드로 옮기는 게 우선”이라며 “투자 지역과 스타일을 분산하고, 장기 적립식으로 투자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이 제도를 증여 수단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1인당 1계좌만 개설할 수 있는 ISA와 달리 해외주식 비과세펀드는 소득이 없는 배우자나 자녀 명의로도 가입할 수 있다. 증여세가 비과세되는 한도(10년간 배우자 6억원, 성인 자녀 5000만원, 미성년 자녀 2000만원)까지 증여한 뒤 배우자나 자녀 이름으로 가입해 10년간 비과세 혜택을 누릴 수 있다.
김우섭 기자 dut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