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진입장벽 쌓아놓고 청년 일자리 공약하는 정당들
입력
수정
지면A39
한국 산업 곳곳이 진입규제에 막혀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전체 산업을 1145개 업종으로 세분화해 조사한 결과, 법령상 진입규제가 있는 업종이 전체의 51.8%인 593개나 된다는 것이다. 이 중 정부가 독점하거나 면허, 지정, 인허가 등으로 강한 진입규제를 받고 있는 업종만 해도 금융, 광업, 운수, 교육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250개(21.8%)에 달했다. 이 조사에 따르면 진입규제가 강한 업종일수록 신규기업이 생겨나는 비율(진입률)도 낮았다. 일자리가 그만큼 창출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강한 진입규제를 신고제나 등록제 등으로 바꾸기만 해도 6만4000개의 기업이 새로 생기고 33만2000개의 일자리를 만들 수 있다는 게 전경련의 분석이다.
도처에서 기업의 시장 진입 자체를 원천봉쇄하고 있는 모습이다. 그것도 국회 정부 지자체 등이 겹겹이 규제하고 있다. 중소기업만 사업할 수 있게 제한하는 중소기업적합업종, 대도시를 넘어 중소도시로까지 확대되는 대형마트 신설 규제 등이 모두 그렇다. 면허제에 따른 진입규제만 해도 면세점, 심야 콜버스, 하우스 맥주 등 일일이 꼽기 어려울 정도다. 관련 부처마다 틀어쥐고 있는 복잡한 인증규제는 화장품 바이오 의료기기 등의 신상품과 신기술을 봉쇄하고 있다. 신산업 창출은커녕 기존 산업에서조차 절반이 넘는 업종에서 새로운 기업, 새로운 일자리가 나올 수 없다는 게 전경련의 분석이다. 이렇게 산업의 진로가 모두 막혀 있는데 청년들이 원하는 일자리가 어디에서 나오겠는가.
20대 총선에 맞춰 정당마다 청년수당을 늘리고, 청년고용 할당제를 민간기업으로 확대한다는 등 일자리 공약이 요란하기만 하다. 그러나 정작 일자리 자체를 어떻게 늘릴 것인지는 아무 언급이 없다. 얼마 전 국무조정실은 드론 등 신산업에 대한 규제를 ‘원칙 허용, 예외 금지’라는 네거티브 방식으로 개선하겠다고 밝혔지만 이런 정도로는 안 된다. 진입규제부터 허물어야 한다. 이를 방치한 채 일자리를 말하는 것은 거짓말이거나 바보들의 헛된 수작이다.
도처에서 기업의 시장 진입 자체를 원천봉쇄하고 있는 모습이다. 그것도 국회 정부 지자체 등이 겹겹이 규제하고 있다. 중소기업만 사업할 수 있게 제한하는 중소기업적합업종, 대도시를 넘어 중소도시로까지 확대되는 대형마트 신설 규제 등이 모두 그렇다. 면허제에 따른 진입규제만 해도 면세점, 심야 콜버스, 하우스 맥주 등 일일이 꼽기 어려울 정도다. 관련 부처마다 틀어쥐고 있는 복잡한 인증규제는 화장품 바이오 의료기기 등의 신상품과 신기술을 봉쇄하고 있다. 신산업 창출은커녕 기존 산업에서조차 절반이 넘는 업종에서 새로운 기업, 새로운 일자리가 나올 수 없다는 게 전경련의 분석이다. 이렇게 산업의 진로가 모두 막혀 있는데 청년들이 원하는 일자리가 어디에서 나오겠는가.
20대 총선에 맞춰 정당마다 청년수당을 늘리고, 청년고용 할당제를 민간기업으로 확대한다는 등 일자리 공약이 요란하기만 하다. 그러나 정작 일자리 자체를 어떻게 늘릴 것인지는 아무 언급이 없다. 얼마 전 국무조정실은 드론 등 신산업에 대한 규제를 ‘원칙 허용, 예외 금지’라는 네거티브 방식으로 개선하겠다고 밝혔지만 이런 정도로는 안 된다. 진입규제부터 허물어야 한다. 이를 방치한 채 일자리를 말하는 것은 거짓말이거나 바보들의 헛된 수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