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Z Insight] 리융후이 중국 카이위안 CEO…자동차 금융·온라인대출 등 신 사업마다 대박 터뜨린 인간 '블루오션 탐지기'
입력
수정
지면B3
자수성가한 사업가의 전형중국 허베이(河北)성에서 가장 높은 빌딩은 245m짜리 카이위안(開元) 파이낸스센터다. 카이위안은 트럭 등 자동차를 사거나 차량 수리비 등을 빌려주는 자동차금융 전문회사다. 영어 이름은 핀세라(Fincera)다. 2014년엔 매출이 8억1300만달러에 이르렀다.
캐나다 출장갔다 자동차금융 배워…트럭 대출 회사 차려 대박
중국 정부의 끝없는 견제
자동차금융·사찰 건설업 등
리 회장이 개척해서 성공하면 정부 뒤늦게 뛰어들어 쫓아내
"중국은 이제 금융 시대"
온라인금융 플랫폼 잇따라 공개
올해 1000억위안 결제 목표…"바이두·알리바바 두렵지 않다"
카이위안의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리융후이(李勇會) 회장은 문화혁명 이후 대기근 시기에 태어나 중국의 성장과 궤를 같이하며 부를 키웠다. 영국의 경제지 파이낸셜타임스(FT)는 평범한 배경에서 태어나 중국 정부와 국유기업의 견제를 딛고 자수성가한 ‘중국 사업가’의 전형과 같은 인물로 그를 소개하는 장문의 기사를 게재했다.척박한 中 금융업에 진출해 대박
1950년대 말 문화혁명 이후 중국은 심각한 기근에 시달렸다. 1958~1961년 최소 3600만명이 굶어죽었다. 멀쩡한 직장을 때려치우고 당장 먹을 것을 마련하기 위해 농사에 매달리는 사람이 늘었다.
1962년 허베이성 성도인 스자좡(石家莊)에서 여섯 남매 중 셋째로 태어난 리 회장의 아버지가 그런 사람이었다. 교사직을 버리고 농부가 됐다. 매일 먹는 문제로 골머리를 앓았다. 리 회장은 “그런 삶밖에 알지 못했기 때문에 불행하다고 생각하지도 못했다”고 회고했다.그의 부친은 가난했지만 교육열이 아주 높았다. 그의 형제자매 가운데 한 명을 제외한 5명이 모두 대학에 진학했다. 지금도 쉽지 않은 일이지만 당시 빈곤층에서는 아주 드문 일이었다. 리 회장은 톈진대에 갔고, 물리광학을 전공했다. 1985년 졸업한 뒤 10년간 국영 트랙터회사에서 일했다. 한 달 월급이 40위안에 불과했다. “그 돈으로는 가족을 먹여살릴 수도 없었다”고 그는 설명했다.
1994년 캐나다에 출장을 간 그는 캐나다에선 집이나 차를 살 때 금융회사에서 돈을 빌린 다음 순차적으로 갚는 것을 알고 문화적 충격을 받았다. 1978년 덩샤오핑이 개혁·개방정책을 쓰기 시작한 지 상당한 시간이 지났지만 당시만 해도 집, 특히 차를 살 때 금융을 활용하는 문화는 없었다.
귀국해서 트럭을 담보로 돈을 빌려주는 회사(카이위안 오토트레이드)를 차렸다. 리 회장은 “트럭에 대한 강한 수요가 있었는데 사람들은 은행에서 돈을 빌릴 능력이 없었다”며 “트럭 만드는 자동차 회사들은 나한테 ‘더 많이 팔 수만 있다면 돈은 나중에 내도 된다’고 했고, 나는 차를 고객에게 넘긴 다음 월부로 고객에게 돈을 받아 차값을 정산하기로 했다”고 했다. 1998년까지 4년간 카이위안은 그야말로 대박을 쳤다. 블루오션이 따로 없었다.건설업 거쳐 전자상거래까지 진출
그러나 그 다음의 스토리는, 가는 곳마다 유전이 발견되는 바람에 끊임없이 ‘인간 유전탐지기’가 돼 쫓겨나야 했던 인디언 화이트하프오트 추장의 이야기(조지프 헬러의 소설 《캐치22》 일부)를 연상케 한다고 FT는 전했다. 리 회장이 진입해서 성공하면 늘 정부 쪽에서 해당 시장에 뛰어들어 그를 쫓아냈기 때문이다.
카이위안의 트럭 대출 비즈니스가 그랬다. 1998년 국영은행들이 이 분야에 다수 진출했다. 그는 “국영은행들은 싸게 자금을 조달해서 상환 능력이 입증되지 않은 사람에게도 마구 빌려줬다”며 “경쟁할 여건이 못 됐다”고 했다. 그가 찾은 새로운 분야는 건설업이었다.당시 중국에선 대규모 사찰 건설 붐이 일었다. 재력가의 기부를 바탕으로 사찰을 증축하는 일이 많았다. 그는 이 업종에서도 상당한 돈을 벌었다. 그러나 중국 관료들이 곧 이 분야가 짭짤하게 돈이 되는 회색지대(불투명한 분야)라는 것을 깨달았고, 이윽고 규제가 첩첩산중으로 쌓이기 시작했다. 처음엔 승인을 받을 일이 많지 않았는데 나중엔 많게는 수백개까지 늘었다. 2013년 완공된 카이위안 파이낸스센터를 끝으로 그는 건설업에서도 손을 뗐다.
처음 사업을 시작했던 트럭 대출 사업으로 돌아가기로 결심했다. 카이위안의 홈페이지에 따르면 리 회장은 590곳의 직영 점포를 운영하고 있다. 1990년대 말 경쟁적으로 진출한 국영은행들은 대출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아 높아진 부실률 때문에 시장에서 손을 뗀 참이었다. FT는 리 회장이 대형 은행과 경쟁하던 과거와 달리 이번엔 현지 밀착형 소규모 임대업자들과 경쟁하는 새 과제를 안고 있다고 설명했다.
“바이두·알리바바 두렵지 않다”
2년 전 리 회장은 온라인 금융으로 발을 뻗었다. 차 살 돈을 빌려준 뒤 수년에 걸쳐 돌려받는 비즈니스의 리스크를 고려하면, 며칠 단위로 차를 수리할 돈이나 연료를 살 돈을 빌려주는 것도 가능하지 않겠느냐는 발상이었다. “단순히 차를 살 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 아니라 차를 사용하는 전 과정에서 서비스하기를 원한다”고 그는 말했다.
단기자금 융통에 쓰는 기업 대 기업(B2B) 금융플랫폼 ‘세라페이(CeraPay)’와 온라인 대출 플랫폼인 ‘세라베스트(CeraVest)’, 전자상거래 플랫폼 ‘트루십(Truship)’ 등을 잇달아 선보였다. 거래가 일어날 때마다 리 회장의 회사가 조금씩 수수료를 떼는 비즈니스다. ‘핀세라’라는 영문 이름은 지난해 6월 정했다. 중국이 ‘금융(finance)의 시대(era)’에 접어들었다며 리 회장이 지은 이름이다. 리 회장에 따르면 지난해 핀세라 플랫폼을 통해 200억위안(약 3조5700원)어치 결제가 이뤄졌다. 올해는 1000억위안이 목표다.“바이두나 알리바바, 텐센트 같은 회사는 두렵지 않다”고 리 회장은 말했다. 그는 “그들은 이 산업에 얼마나 많은 기회가 잠재해 있는지 깨닫지 못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바이두 같은 회사를 경쟁사로 여겼다. 경쟁사를 통틀어 ‘허깨비(鬼)’라고 불렀다. 자신의 인지도가 그에 비해 부족한 점에 대해서는 “언론을 많이 타면 더 많은 허깨비를 상대로 설교(사업)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