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금융사, 국제경쟁력 낙제점…핀테크 등 미래 먹거리 육성해야"
입력
수정
지면A12
국가미래연구원 '산업경쟁력 포럼 세미나'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장(서강대 석좌교수·오른쪽 첫 번째), 황건호 금융감독원 옴부즈만(전 금융투자협회장·두 번째), 서정호 한국금융연구원 은행보험연구실장(네 번째) 등이 7일 ‘산업경쟁력 포럼 제9회 세미나’에서 토론하고 있다. 국가미래연구원 제공](https://img.hankyung.com/photo/201604/AA.11515185.1.jpg)
서정호 금융연구원 은행보험연구실장은 국가미래연구원 주최, 한국경제신문사 후원으로 7일 서울 중구 서울클럽에서 열린 ‘산업경쟁력포럼 제9회 세미나’의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서 실장은 규모와 관련해 “신한금융 KB금융 하나금융 등 국내 3대 은행지주사와 중국공상은행 중국건설은행 JP모간체이스 등 글로벌 최상위 3개 은행그룹의 평균 기본자본 격차는 2012년 이후 확대돼 2014년엔 10.9배로 벌어졌다”고 설명했다.
수익 창출 능력 및 미래 가치, 수익원 다각화 측면에 대해선 각각 ‘부정적’ ‘미흡’ 평가를 내렸다. 2013회계연도를 기준으로 비교한 결과 국내 3대 은행지주의 총자산수익률(ROA)과 자기자본이익률(ROE)은 각각 0.45%와 5.76%로, 글로벌 100대 금융회사의 평균치인 0.83%와 9.39%보다 낮았다.
국내 금융업계엔 이자이익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쏠림 현상도 나타났다. 국내 은행의 이자이익 비중 평균치는 89.5%로, 글로벌 100대 금융회사 평균(62.9%)보다 높았다. 다만 자산건전성은 양호하다고 봤다. 글로벌 100대 은행의 2013회계연도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 평균은 15.3%였으며, 국내 은행 평균은 13.9%였다.서 실장은 “국제통화기금(IMF)이 지난 1월 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금융발전 수준이 세계 6위로 최상위권이라고 발표했지만, 이 조사는 금융 국제화 수준 등에 대한 평가가 미흡했다”며 “한국의 금융 발전 수준이 과대평가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송종현 기자 scre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