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형저축·장마…사라지는 '국민 재테크 상품'
입력
수정
지면B3
세제 혜택 갈수록 줄어

1976년 도입된 장마저축은 2012년 소득공제 및 비과세 혜택이 폐지되면서 자금이 급속도로 빠져나가는 추세다. 우리 국민 하나 신한 농협 등 5개 시중은행의 장마저축 잔액은 2012년 말 6조2570억원에서 작년 말 2조7114억원으로 56.66% 감소했다. 만 20세 이상이면 누구나 1000만원까지 가입할 수 있던 세금우대종합저축(이자소득세 9.5%)도 2014년 말 사라졌다. 대신 모든 금융회사 통합 5000만원까지 비과세 혜택이 있는 비과세종합저축이 나왔지만, 만 61세 이상이거나 장애인 독립유공자 기초생활수급자 국가유공자 고엽제후유증환자 등만 가입할 수 있다.1970~1990년대 직장인의 필수 재테크 수단이던 비과세 재형저축은 1995년 폐지됐다가 18년 만인 2013년 3월 부활했다. 하지만 연 급여 5000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금액 3500만원 이하로 가입 자격을 제한한 탓에 반응이 뜨뜻미지근하다. 연 소득 1억~2억원 안팎인 고소득 직장인의 가입을 제한하다 보니 돈이 잘 모이지 않는다는 분석이다. 납입금액의 40%(연 600만원 한도)까지 소득공제 혜택이 있는 소득공제장기펀드도 연 급여 5000만원 이하만 가입할 수 있다.
허란 기자 wh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