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프라임 사업, 교육의 질 높이는 계기 돼야

김화중 < 경북대 건설환경에너지공학부 교수 >
대학 캠퍼스에 봄이 한창이다. 그런데 대학생들이 봄을 즐기기엔 현실이 녹록지 않다. 청년 취업난은 갈수록 심해지고 있고, 경제 상황 또한 어둡기 그지없다. 전문가들은 정보기술(IT), 문화콘텐츠 등의 신산업 육성이 필요하다고 진단한다. 이를 위한 인력 양성을 위해 대학은 학과 개편 등 구조조정 필요성에 직면해 있다.

올해부터 추진하는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PRIME) 사업(이하 프라임 사업)’은 시의적절하다고 생각한다. 프라임 사업은 수요가 늘어나는 분야의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각 대학이 자발적으로 학과를 개편하고, 정원을 조정하며, 진로·취업 중심으로 학교를 개편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이 사업에 참여하려는 대학들이 유념해야 할 사항이 있다.

첫째, 프라임 사업은 대학의 중장기 발전 맥락에서 추진해야 한다. 학령 인구 감소로 2018년부터 고교 졸업생보다 대학 정원이 더 많아지고, 2024년 이후에는 입학 정원의 30%가 미(未)충원될 것으로 우려된다. 대학 스스로 체질을 개선하며 수요가 늘어날 분야의 인재 육성 전략을 세워 대처하지 않으면 ‘백약이 무효’인 지경에 이를 수도 있다. 둘째, 단순하게 정원을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교육 과정을 혁신하고 내실화할 필요가 있다. 교육과 연구 중심이란 역할을 넘어 학생의 진로·취업까지 지원하는 혁신적 전환이 필요하다. 셋째, 대학 구성원들과의 진지한 논의가 필요하다. 대학의 변화와 발전은 시대적 요구이므로 구성원들과의 충실한 논의를 통해 발전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 넷째, 각 대학의 여건과 특성, 강점 등을 고려해 추진해야 한다.

대학은 교육·연구라는 전통적 역할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진로·취업 지원, 사회에 필요한 인력 양성 책임도 요구받고 있다. 변화에 즉각 대응하기는 어려운 점이 있겠지만 상아탑 속에 갇혀 사회의 요구를 제대로 바라보지 못한다면 대학의 발전은 더뎌진다.곧 프라임 사업에 선정된 대학이 발표된다. 선정 여부를 떠나 프라임 사업을 신청했다는 것만으로도 큰 의미가 있다. 사업 신청 자체가 학생 중심으로 체질을 바꾸겠다는 의지의 표현이기 때문이다. 프라임 사업을 계기로 대학의 혁신 노력이 탄력을 받았다면 사회적 책임도 다할 기회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김화중 < 경북대 건설환경에너지공학부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