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재무부 환율보고서 파장…‘구로다’와 ‘드라기’ 백기 투항하나
입력
수정
‘NATO(No Action Talk Only)’. 지난 2주간 세계인의 이목 속에 숨 가쁘게 열렸던 중앙은행 회의에서 말은 요란했지만 행동은 아무것도 취하지 않았다. 특히 마리오 드라기 유럽중앙은행(ECB) 총재와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BOJ) 총재가 그랬다. 무슨 특별한 이유가 있었을까? 그 답은 미국 경제에 있다.미국경기 둔화세가 뚜렷하다. 지난해 2분기 이후 매분기 성장률이 발표될 때마다 반토막 나고 있다. 특히 올해 1분기 성장률은 0.5%로 지난해 4분기에 비해 ‘3분의 1’ 수준으로 떨어졌다(2015년 2분기 3.9%→3분기 2.0%→4분기 1.4%→2016년 1분기 0.5%). 미국 중앙은행(Fed)의 경기판단기조인 ‘완만한 회복세’을 무색케 할 정도다.민간소비, 투자, 투자, 정부 지출 등 총수요 항목별 기여도를 보면 수출이 부진한 점이 눈에 띤다. 세계 경기가 부진한 것에 원인이 있지만 유럽, 일본 등 교역상대국의 자국통화 약세정책으로 반사적인 달러 강세의 피해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Fed의 계량모델인 ‘퍼버스(Ferbus=FRB+US)’에 따르면 달러 가치가 10% 상승하면 2년 후 미국 경제 성장률이 무려 0.75% 포인트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온다.자료 : 블룸버그, WSJFed, 재무부, 상무부, 무역대표부(USTR) 등 수출관련 모든 미국 정책부서가 반사적인 달러 강세 피해를 우려해 왔던 것도 이 때문이다. 마침내 환율주무부서인 재무부가 발 벗고 나섰다. 올해 2월 이후 제이콥 루 재무장관은 더 이상 유럽, 일본 등 교역상대국의 금융완화를 통한 자국통화 약세책을 용인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거듭 밝혀왔다.올해 처음 BHC(베넷-해치-카퍼)법과 연계해 발표했던 상반기 환율보고서에서 한국, 중국, 독일, 일본, 대만 등 5개국을 대거 환율감시 대상국으로 지정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한국은 환율감시 심층대상국(환율 조작국)으로 지정하지 않았지만 외환시장 개입 등에 강도 있는 투명성을 요구해 언제든지(올해 하반기 보고서) 한 단계 높일 가능성을 열어 놓았다.세계 경제가 갈림길에 놓일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의 이런 요구에 유럽, 일본 등 교역상대국이 추가 금융완화를 통한 자국통화 약세책으로 맞대응할 경우 커다란 혼란에 빠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금융위기 이후 저성장 국면에서 탈피하지 못하고 있는 세계 경제가 글로벌 환율전쟁까지 가세된다면 ‘대침체기’에 빠지는 것은 불 보듯 뻔하다.4월 ECB와 BOJ 회의에서 드라기와 구로다 총재는 ‘NATO’라는 비난을 받고 있지만 아무런 추가 금융완화 조치를 내놓지 않았다. 외형상으로는 야심차게 도입했던 마이너스 금리제도의 효과가 나오기까지 지켜보겠다는 이유를 내세웠다. 하지만 미국에 맞대응하다간 더 큰 피해를 당할 수 있다는 숨은 의도가 작용했던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추가 금융완화를 통해 경기를 부양할 수 없다면 일본 경제가 가장 우려된다. 올해 2월 마이너스 금리제도 도입 이후 엔화 강세 현상이 나타나 아베노믹스에 대한 신뢰가 완전히 무너지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보다 앞서 도입했던 유럽은 아직까지 그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6월에는 브렉시트 여부를 묻는 영국 국민투표도 예정돼 있다.교역상대국을 대상으로 한 미국의 반격이 지속될 경우 한국도 피해갈 수 없다. 올해 상반기 환율보고서에서 BHC법의 세 가지 환율조작국 지정요건(△국내총생산(GDP)대비 3% 이상 경상수지흑자국 △매년 200억달러 이상 대미(對美) 무역흑자국 △전년대비 2% 이상 자국통화 평가절하국) 중 두 가지가 걸려있기 때문이다.세 가지 기준 중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과다한 경상수지흑자부터 줄여 나가야 한다. 특히 우리처럼 수출 감소 속에 수입이 더 감소하는 ‘불황형 흑자’일수록 그렇다. 규제완화와 세제혜택 등을 통해 기업과 금융사의 글로벌 투자를 적극 권장해 나갈 필요가 있다. 포트폴리오 성격이 강한 외자 유입은 ‘영구적 시장개입(PSI)’을 통해 밖으로 퍼내야 한다. 한국 수출입증가율 추이 한국 물가상승률 추이자료 : 블룸버그 자료 : 블룸버그추가 금리인하 방안도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경제주체가 금리수준 부담보다 미래 불확실성을 더 높게 느끼는 최근과 같은 통화정책 여건에서는 금리인하에 따른 경기부양효과는 반감되기 때문이다. 오히려 원?달러 환율을 상승시켜 환율조작국에 지정될 가능성을 높이는 자충수가 될 가능성이 높다. 특정부문에 자금을 집중 지원하는 ‘한국형 양적완화’도 세계무역기구(WT)의 보조금 조항에 위배돼 통상마찰의 빌미를 제공할 수 있다.달러 투자자는 그 어느 때보다 ‘균형감’을 찾아야 한다. 개인 차원에서 추가 원화 약세를 노리다간 국가 차원에서 환율조작국에 걸려 엄청난 피해가 자신에게 되돌아올 ‘구성의 오류(fallacy of composition)’에 걸릴 우려가 높기 때문이다. 달러 가치도 미국의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이 낮아져 ‘슈퍼 달러’ 시대가 올 가능성은 멀어졌다. 외국인 주식자금 유출입 원화 위안화 환율 비교자료 : 금감원 자료 : 블룸버그한국경제TV 핫뉴스ㆍ근로장려금 기준? Q&A로 보는 근로ㆍ자녀장려금 수급요건 `지급일은?`ㆍ이번주 전국 날씨, 화요일까지 전국 많은 비 "우산 챙기세요"ㆍ노무현 전 대통령 사저 공개…실제로 보니 대통령집 맞아? 소박ㆍ송중기, "송중기 스승이라 행복하다" 그의 연기 스승 화제ㆍ`SNL` 홍수아, 중국 아닌 한국서 인정받기 원해 "중국 활동? 돈 벌기 위한 것 아냐"ⓒ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