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 21년 만에 석유장관 교체…'탈석유왕국 프로젝트' 가속
입력
수정
지면A13
새 장관에 칼리드 아람코 회장
명칭도 에너지산업광물부로 변경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사우디 석유부를 21년간 이끌면서 사우디 석유정책과 석유수출국기구(OPEC)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던 알리 이브라힘 알나이미 석유장관(81)이 전격 교체됐다고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살만 빈 압둘아지즈 사우디 국왕은 그의 후임으로 사우디 국영석유회사 아람코의 칼리드 알팔리 회장(56·사진)을 임명했다. 칼리드 회장은 사우디 보건장관을 겸직하고 있다. 석유부 명칭도 에너지산업광물부로 바뀌면서 신임 장관은 석유뿐 아니라 에너지정책 전반을 담당하게 됐다. 이 같은 인사에 따라 무함마드 부왕세자가 추진하고 있는 탈석유화 정책은 가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왕위계승 서열 2위인 무함마드 부왕세자는 사우디의 경제정책을 주도하는 실세다.
그는 지난달 말 석유 의존에서 벗어나기 위한 경제구조 개혁안인 ‘사우디 비전 2030’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그동안 전문관료가 맡아온 석유장관 자리에 그의 측근이자 왕족인 칼리드 회장이 발탁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짐 크레인 사우디 라이스대 베이커연구소 연구원은 “칼리드 회장이 에너지 전반을 담당하면 석유 의존도를 낮추려는 정부의 석유 정책을 잘 조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1995년부터 사우디 석유부를 이끈 알나이미 전 장관은 산유량 조절을 통해 석유가격을 통제하는 등 OPEC의 석유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쳐왔다. 하지만 무함마드 부왕세자가 직접 사우디의 석유산업 재편 작업에 나서면서 위상이 추락했다. 무함마드 부왕세자는 지난달 17일 카타르 도하에서 알나이미 석유장관이 참석한 산유국 간 생산량 동결 합의를 ‘전화 한 통’으로 뒤집었다.
이날 대대적으로 단행된 개각에서 사우디 중앙은행(SAMA) 총재와 교통부 장관 등도 교체됐다. WSJ는 “개각은 당연한 수순”이라며 “칼리드 회장은 최근 몇 년간 사우디의 석유 정책에 깊이 관여해왔다”고 전했다. 알나이미 전 장관은 왕실 자문역을 맡는다.
홍윤정 기자 yj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