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LG 디스플레이 패널 논쟁, ICDM 최종 판결은…
입력
수정
지면A13
LG디스플레이 'RGBW 방식'
4K패널 인정…선명도는 떨어져
TV화면 '선명도' 표기 의무화

ICDM은 지난 24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총회에서 RGBW 방식의 4K(기존 HD보다 화소수가 4배 많다는 뜻) 초고화질(UHD) 패널을 4K로 인정하되, 해상도를 표기할 때 ‘선명도(contrast modulation)’ 값을 명시하도록 결정했다. 이 결정은 “LG디스플레이가 생산하는 RGBW 방식의 패널은 4K 패널이 아니다”는 삼성 측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는 대신 LG디스플레이 패널의 선명도가 떨어진다는 점은 인정했다는 의미다.양사 간 논란은 작년에 LG디스플레이가 ‘M플러스’라는 저가형 4K 패널을 개발하며 시작됐다. 이 패널은 전통적 RGB 방식이 아니라 RGBW 방식으로 제조됐다.
고해상도 4K 패널을 만들려면 백라이트용 발광다이오드(LED)를 더 배치하는 등 추가 부품이 필요하다. 하지만 LG디스플레이는 LED를 더 넣기보다 각 화소에 있는 적색(R), 녹색(G), 청색(B) 등 3개의 부분 화소 중 하나를 빼고 밝은 백색(W) 부분 화소를 넣었다.
‘RGB-WRG-BWR-GBW…’와 같은 식으로 배치해 원가를 낮추면서도 고해상도 밝기를 냈다. LG전자와 중국 TV 회사들이 이 패널을 써 중저가 UHD TV를 제조했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는 “화이트 픽셀이 별도의 색상을 구현하지 못해 4K로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이번 ICDM 결정안은 삼성 LG 등 50개 전자회사와 디스플레이 전문가가 참석한 가운데 3분의 2 이상이 찬성해 통과됐다. 삼성전자는 “RGBW 방식 패널의 화질 선명도가 떨어지는 것을 인정한 것”이라고 밝혔다. LG전자는 “RGBW 방식의 패널이 공식적으로 4K임을 ICDM이 인정했다”고 받아쳤다.
■ RGB와 GBW
디스플레이 패널은 수많은 화소로 이뤄진다. RGB 방식은 각각의 화소가 적색(R), 녹색(G), 청색(B) 등 3개의 부분 화소로 배치된다. RGBW 방식은 각 화소에서 RGB 중 하나를 빼고 대신 백색(W) 부분 화소를 넣은 것이다. 부분 화소를 ‘WRG-BWR-GBW…’ 식으로 조합해 밝기를 높이면서도 제조원가는 낮출 수 있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