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B, 회사채도 사들여 '경기 띄우기'
입력
수정
지면A13
마이너스 금리 대출도 시작유럽중앙은행(ECB)이 이달부터 회사채를 직접 사들이는 방식으로 시장에 돈을 푼다. 지난 3월 통화정책회의에서 예고한 대로다.
ECB의 매입 대상은 범위가 상당히 넓다. 투자등급(BBB- 이상) 회사채로 금리가 연 -0.4%(현재 시중은행의 ECB 예치금 금리)보다 높고 잔존만기가 6개월~30년이면 된다. 채권 발행시장과 유통시장도 가리지 않는다.은행채는 제외하지만 보험회사 채권은 살 수 있고, 금융사를 거느린 제조회사 채권도 매입 가능하다. 모회사가 외국에 있더라도 채권 발행사가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에 있으면 상관없다. 특정 기업의 발행 물량 가운데 최고 70%까지 ECB가 매입해 보유할 수 있다.
시장에서는 ECB가 얼마나 많이 회사채를 살 것이냐를 두고 의견이 분분하다. 초기엔 소규모로 시작해 갈수록 매입량을 늘릴 것이라는 전망이 대부분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애널리스트들은 유럽 채권시장 규모를 고려할 때 ECB가 약속한 대로 “시장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시장 중립적)” 수준을 유지하려면 월 50억유로 이상 회사채를 사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ECB는 3월 양적 완화(QE) 규모를 월 600억유로에서 800억유로로 늘린다고 발표했으나 월 200억유로 증가분 가운데 회사채 비중은 일부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ECB가 회사채를 직접 사들이면 회사채 시장에서 금리가 더 떨어져 기업 자금 조달환경이 더 개선될 수 있다. 다만 지금도 우량 대기업은 돈 빌리기가 어렵지 않기 때문에 중소기업 회사채 금리가 얼마나 떨어질 것인지가 관건이라고 FT는 지적했다.
이달부터 ECB는 유로존 시중은행에 마이너스 금리로 돈을 빌려주는 2차 목표물 장기대출프로그램(TLTRO Ⅱ)도 가동한다. 마이너스 금리로 대출해준다는 말은 곧 보조금을 얹어준다는 뜻이다. 비금융회사 및 가계대출 금액의 최대 30%까지 은행에 자금을 지원한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