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렉시트 이후] "경제위기 아닌 정치위기"…글로벌 시장 4일 만에 충격 회복
입력
수정
지면A11
세계 금융시장 안정세글로벌 금융시장의 주요 지수들이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브렉시트) 결정 이전 수준으로 속속 회복하고 있다. 아직 안전자산 수요가 많다는 점에서 도사리고 있는 위험은 경계하는 모습이다.
영국 FTSE100·미국 S&P500·다우지수 급반등
아시아 증시도 낙폭 만회…"파운드화 안정 큰 역할"
달러 약세 전환…금 등 안전자산 수요도 여전
○뚝 떨어진 공포지수

뉴욕증시의 S&P500지수도 이날 1.7% 상승한 2070까지 회복하며 연간 상승률을 플러스로 돌려놨다. 다우지수는 28일과 29일 이틀간 553포인트, 3.2% 급등해 이틀 상승폭으로는 2월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반면 뉴욕증시의 ‘공포지수’로 통하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의 변동성지수(VIX)는 이틀간 30.5% 하락한 16.6까지 떨어졌다. 시장 위험선 20을 한참 밑도는 수준이다.
아시아 시장은 일찌감치 브렉시트 충격에서 벗어났다. 중국 상하이증시는 24일 하루만 1.3% 빠졌을 뿐 이후 사흘 연속 상승하며 낙폭을 모두 만회했다. 일본 닛케이225지수는 24일 1200포인트(7.9%)가 빠지는 기록적인 낙폭의 충격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했지만 이후 나흘 연속 반등세를 보였다.
예상과 달리 금융시장이 빠른 속도로 회복하는 것은 영국 파운드화의 안정이 큰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파운드화 가치는 이날 달러 대비 0.7% 반등한 파운드당 1.34달러를 기록했다. 연말 1.1달러까지 수직추락할 것이라는 전망과 헤지펀드의 매도 공세에도 불구하고 1.3달러에서 탄탄한 방어선을 형성하고 있다.달러는 약세로 돌아섰다. 이날 뉴욕외환시장에서 주요 6개국 통화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지수는 0.5% 하락하며 95.8까지 밀렸다. 신흥국 통화도 강세를 보였다. 브렉시트 결정 직후 유럽과 밀접하다는 이유로 폭락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랜드화는 이날 2.2%의 초강세를 보였다. 멕시코 페소화 가치도 1.7% 상승했다.
브렉시트 결정 직후 선진국 중앙은행들이 신속한 공조로 위기 수습에 나서고, 브렉시트가 현실화하려면 최소 2년이라는 시간이 걸린다는 점이 확인되면서 투자자들이 냉정을 되찾았다고 전문가들은 평가했다.
골드만삭스는 미국의 대(對)영국 수출이 국내총생산(GDP)의 0.7% 수준으로 미미하다며 금융채널을 통한 위기 전염도 선진국 간 통화스와프 라인으로 통제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마이크 배일 US은행 선임 포트폴리오매니저는 “브렉시트 충격에도 미국의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측정하기 어려울 정도로 미미하다”고 말했다.○안전자산 수요도 많아
“위기는 현재 진행형”이라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국채시장은 리스크 회피 성향이 여전하다는 신호를 보내고 있고 증시도 긍정적인 지표만 있는 게 아니라는 분석이다.
이날 미국 국채(10년물) 금리는 0.05%포인트 상승한 연 1.51%로 소폭 올랐지만(가격 하락) 독일 국채(분트)는 연 -0.12%를 유지했다. 영국 국채(길트)도 연 0.95%로 하락세가 이어졌다. 일본 국채는 연 -0.23%로 역대 최저 행진을 이어갔다.
뉴욕=이심기 특파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