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중고 겪는 정비공장, 정부 규제에 주저앉는다"
입력
수정
지면A19
협동조합은 지금…
주인수 경기북부자동차정비사업협동조합 이사장
민간에 내준 대형버스 검사 정부기관으로 일원화 추진
중소업체 209곳 수백억 손실
민간검사소 넘치는 수도권에 공단의 출장검사소 또 지정
과열경쟁 부추겨 경영난
![주인수 경기북부자동차정비사업협동조합 이사장이 경기 고양시에 있는 중산자동차에서 차량 정비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박영태 기자](https://img.hankyung.com/photo/201607/AA.11989515.1.jpg)
경기북부지역 자동차 정비업계 대표 단체인 경기북부자동차정비사업협동조합의 주인수 이사장은 “안전을 빌미로 민간에 허용한 차량검사 업무를 정부가 산하기관에 맡기려 하고 있다”며 “자동차 정비업계의 경영난이 가중될 것”이라고 우려했다.○제살깎기 경쟁 ‘악순환’
![](https://img.hankyung.com/photo/201607/AA.11991944.1.jpg)
사업자가 늘면서 경쟁이 치열해졌고 이는 매출 감소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낳았다. 주 이사장은 “상당수 정비공장이 운영비도 감당하지 못할 정도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버스 검사 일원화로 불편 가중”
업계는 매출 감소는 물론 시설투자 손실을 걱정하고 있다. 209개 정비공장은 평균 3억~4억원을 투자한 버스 검사시설을 놀릴 수밖에 없고 연간 50억원 안팎인 검사 수입마저 공단에 뺏기기 때문이다.소비자의 불편만 가중될 것이라는 주장도 나온다. 주 이사장은 “공단검사장에선 검사만 하지만 민간 정비공장에서는 수리한 뒤 검사를 받을 수 있어 두 번, 세 번 검사장을 찾을 일이 없다”며 “소비자 불편만 커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공단 출장검사장 폐단 없애라”
중소 자동차정비업계는 공단의 출장검사장 제도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공단이 출장검사장을 수익 챙기는 수단으로 남용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공단은 서울 경기 등 전국 49개 민간 정비공장을 출장검사장으로 지정해 운영 중이다. 출장검사장은 공단과 수익을 나눈다.
중소 정비업계는 공단이 도서지역 등 차량검사장이 부족한 곳이 아니라 서울과 경기 지역에 집중적으로 출장검사장을 두고 있는 게 문제라고 지적한다. 출장검사장은 서울과 경기 지역에 32곳이 밀집해 있고 전남 충남 전북 등에는 한 곳도 없다.주 이사장은 “공단이 출장검사장으로 지정받으려는 민간 중소 정비공장의 경쟁을 부추겨 수익을 올리고 있다”며 “공익을 염두에 두고 출장검사장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고양=박영태 기자 py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