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뒤 보험사 순익 40% 줄어들 것"

보험연구원 보고서

저금리·새 회계기준 도입 여파
"계약 전환 등 정부 지원 필요"
저금리 장기화와 새 국제회계기준(IFRS4 2단계) 도입 여파로 2020년 국내 보험업계 순이익이 지금보다 40%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이에 대비해 보험회사는 금리연동형 보험 확대 등 상품 포트폴리오를 바꾸고, 정부도 이미 판매한 보험계약 조건 변경 등을 허용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조재린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15일 서울 소공동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보험업계 최고경영자(CEO) 및 경영인 조찬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그는 “2008년 이후 각국 정부의 저금리 정책으로 보험사의 예정이율과 운용자산이익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했다”며 “지난해 국내 보험업계 손익을 1로 봤을 때 2020년엔 손익이 0.6 정도로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5년 뒤 보험업계 이익 규모가 지금보다 40%가량 감소할 것이란 얘기다.

조 연구위원은 저금리에 대비해 국내 보험사들이 금리확정형 대신 금리연동형 상품 비중을 늘려왔지만 여전히 금리확정형 비중이 높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6월 기준 국내 생명보험사의 금리확정형 상품 비중은 전체의 43%였다. 특히 연 5% 이상 고금리 확정형 상품 비중이 30.8%에 달했다.

그는 저금리 상황에 더해 보험부채를 원가 대신 시가로 평가하는 IFRS4 2단계 회계기준이 2020년 도입되면 보험사 부담이 더욱 커질 것이란 우려도 제기했다.조 연구위원은 한국보다 앞서 저금리 환경을 경험한 일본과 대만, 독일 등의 대응에서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일본에선 1990년대 후반~2000년대 초 금리 하락 여파로 보험계약 해약이 급증해 생보사 7곳, 손보사 2곳이 파산했다”며 “일본 정부와 업계는 역마진에 대비해 추가 준비금을 적립하는 등 선제 대응했다”고 말했다.

정부의 제도적 지원도 주문했다. 그는 “일본 정부는 2003년 심각한 경영위기에 처한 보험사에 한해 보험금 지급액을 줄이고 예정이율을 낮추는 등 계약조건을 변경할 수 있도록 허가했다”며 “대만도 고금리 상품 판매에 따른 보험사의 역마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생명보험을 연금 또는 장기간병보험 등으로 전환할 수 있게 허용했다”고 설명했다.

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