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중국의 자동차 배터리 차별, 정부는 WTO에 제소해야 한다
입력
수정
지면A39
중국이 한국 정부의 재검토 요청에도 불구하고 LG화학 삼성SDI의 삼원계 배터리에 대해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며 보조금 지급 중단 결정을 거두지 않았다. 달라진 게 있다면 앞으로 새 안전성 기준을 만들어 공정하게 심사하겠다고 약속한 정도다. 하지만 새로운 기준 설정 작업이 언제 마무리될지 알 수 없다. 중국은 전기버스값의 최대 80%를 보조금으로 준다. 그런 상황에서 보조금 지급 중단은 한국 배터리의 중국시장 접근을 차단한 것이나 다름없다. 부당한 차별이 명백한데도 정부는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등 더 적극적인 수단을 찾지 않고 있다.
문제의 발단은 중국 정부가 올해 초 자국 업체가 주로 생산하는 리튬인산철(LFP) 방식 배터리에는 보조금을 계속 지급하기로 한 반면, 한국 기업의 삼원계 배터리 장착 전기버스에는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기로 결정하면서 시작됐다. 이미 중국에 수천억원을 들여 삼원계 배터리 공장을 완공한 LG화학 삼성SDI는 뒤통수를 맞은 꼴이 됐다. 기업들로서는 이런저런 경로를 통해 직접 호소도 해 봤을 것이다. 정부 역시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에 이어 황교안 국무총리까지 나서 중국에 보조금 지급 재개를 요청했다. 하지만 모두 물거품이 되고 말았다.미국 일본 독일 등의 세계적 인증기관이 안전성을 입증한 배터리에 대해 왜 중국 정부만 문제가 있다고 주장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 더구나 삼원계 배터리는 중국 측 LFP에 비해 에너지밀도가 높아 더 앞선 기술로 분류된다. 세계시장 점유율이 삼원계가 93%, LFP는 7%로 크게 차이나는 점만 봐도 알 수 있다. 중국 정부가 자국 업체들이 기술을 개발하고 경쟁력을 확보할 때까지 시간을 벌어줄 목적으로 보조금을 악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우리는 중국의 이번 조치가 사드 문제와 연관됐다고는 보지 않는다. 좋은 게 좋다는 식으로 어물쩍 넘어가는 한국 정부의 태도가 더 문제다. 정부는 즉각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위반임을 지적하고 WTO 제소도 불사해야 마땅하다. 중국 정부의 우호적 처분이 아니라 공정한 법의 지배를 요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문제의 발단은 중국 정부가 올해 초 자국 업체가 주로 생산하는 리튬인산철(LFP) 방식 배터리에는 보조금을 계속 지급하기로 한 반면, 한국 기업의 삼원계 배터리 장착 전기버스에는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기로 결정하면서 시작됐다. 이미 중국에 수천억원을 들여 삼원계 배터리 공장을 완공한 LG화학 삼성SDI는 뒤통수를 맞은 꼴이 됐다. 기업들로서는 이런저런 경로를 통해 직접 호소도 해 봤을 것이다. 정부 역시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에 이어 황교안 국무총리까지 나서 중국에 보조금 지급 재개를 요청했다. 하지만 모두 물거품이 되고 말았다.미국 일본 독일 등의 세계적 인증기관이 안전성을 입증한 배터리에 대해 왜 중국 정부만 문제가 있다고 주장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 더구나 삼원계 배터리는 중국 측 LFP에 비해 에너지밀도가 높아 더 앞선 기술로 분류된다. 세계시장 점유율이 삼원계가 93%, LFP는 7%로 크게 차이나는 점만 봐도 알 수 있다. 중국 정부가 자국 업체들이 기술을 개발하고 경쟁력을 확보할 때까지 시간을 벌어줄 목적으로 보조금을 악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우리는 중국의 이번 조치가 사드 문제와 연관됐다고는 보지 않는다. 좋은 게 좋다는 식으로 어물쩍 넘어가는 한국 정부의 태도가 더 문제다. 정부는 즉각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위반임을 지적하고 WTO 제소도 불사해야 마땅하다. 중국 정부의 우호적 처분이 아니라 공정한 법의 지배를 요구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