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 래빗] 서울 지하철 최악 '콩나물 시루'는 어디?

뉴스래빗 데이터저널리즘 'DJ 래빗' 6회
서울 전역 지하철 혼잡도 지도 최초 작성

출근길 혼잡도 최악 역시나 '9호선 급행'
9호선 급행만 북적..수송인원 오히려 적어
2호선 '서울대~교대' 혼잡도 2위
'강북 환승 인파' 4 · 7호선 집중
혼잡 분산 못하는 9호선, 계속 '지옥철' 우려
[편집자 주] 오늘 출근길도 안녕하셨나요?

또 지옥철 '콩나물 시루'에 끼어온 건 아닌지요. 지하철은 서울 시민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교통수단입니다. 서울시 교통수단 분담률의 39%나 차지하고 있죠. 버스(27%), 자가용차(22.8%)를 압도합니다. 그렇다보니 출·퇴근길 지하철은 늘 지옥철로 불릴 만큼 혼잡하죠. 요즘처럼 푹푹찌는 한여름의 만원 지하철 속 불쾌지수는 하늘을 찌릅니다.붐비는 서울 지하철 중에서도 어느 노선과 어느 구간이 가장 혼잡할까요? 뉴스래빗이 출근 시간대인 오전 8시 전후 서울 전체 지하철 노선의 혼잡도를 한눈에 보여드립니다. 지난 2주간 서울메트로(1~4호선), 서울도시철도공사(5~8호선), 서울9호선운영(주)에 요청해 최신 혼잡도 데이터를 수집했습니다.

2015년 하반기 측정한 이들 최신 데이터를 전수 확보해 분석한 사례는 뉴스래빗이 처음이랍니다, 후훗 !.! 각 운영사는 1년 간 교통카드 승하차 기록을 바탕으로 2년에 특정일을 정해 하루동안의 혼잡도를 측정합니다. 조사 대상은 지하철 1~8호선 전 구간과 9호선 가양~동작 구간입니다. 단 9호선은 지난해 9월 중 하루, 가장 혼잡한 가양~동작 구간만을 대상으로 오전 7시 30분부터 1시간 동안 목측(눈으로) 조사한 결과입니다.여러분이 매일 오가는 출근 전철의 혼잡도를 확인해보세요. 과연 '지옥철' 문제는 해결되고 있는 걸까요?


▼ 서울 1~9호선 지하철 전역 혼잡도 지도 : TIP 선 터치로 상세 데이터
▼▼ 선이 두껍고 색이 진할수록 혼잡도가 큰 지역

# 1. 혼잡도 최악 역시나 '9호선 급행'

악명대로였습니다. 오전 8시 전후 9호선 급행(종합운동장 방면) 가양~동작 구간 급행이 서울 전체 노선 중 가장 혼잡했습니다. 아래 9호선 혼잡 지도를 보시죠.
▼ 서울 9호선 지하철 혼잡도 지도 : TIP 선 터치로 상세 데이터

가양~동작 구간 5곳 역 중 4곳이나 혼잡도 200%를 넘었습니다. 1~8호선 전 구간 어느 곳보다 혼잡했습니다. 9호선 역 가운데 최고 혼잡한 곳은 염창역. 혼잡도는 234%에 달했습니다. 이어 당산역(219%) 노량진역(213%) 여의도역(210%) 순, 모두 200%를 초과했습니다.

혼잡도 200%는 모든 좌석에 승객이 앉고 객실통로에 37명, 출입문 사이에 30명이 각각 서있는 상태로 1량에 320명이 탔을 때를 말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아래 표를 봐주세요. 혼잡도 150% 상황입니다.
국토교통부가 정한 객차당 수송용량 기준인 혼잡도 150% 상태. 좌석에 승객이 모두 앉아있고 객실 통로에 4열 입석, 출입문에 5열 입석한 상태를 의미한다. (출처=서울연구원)
이미 콩나물 시루죠. 혼잡도 200%면 320명, 150%는 240명이 탄 상황입니다.234%로 혼잡한 9호선 염창역 1량에는 무려 386명이 타고 있는 셈입니다. 상상만 해도 갑갑합니다. 혼잡도 200%를 넘으면 이산화탄소가 급격히 증가해 호흡 곤란을 일으킬 수 있고, 승객 간 신체접촉이 심해져 불쾌지수가 치솟습니다.

# 2. 9호선 급행만 북적북적..수송인원 오히려 적다

높은 혼잡도에 비해 9호선 이용객은 상대적으로 많지 않은 편입니다. 아래 표를 보시죠.


▼ 2015년 1~9호선 수송 인원 그래프 : TIP 선 터치로 상세 데이터

1~8호선 중 구간 길이가 가장 짧은 8호선을 제외한 나머지 주요 7개 노선보다 9호선 수송인원은 적습니다. 그럼 혼잡한 이유가 뭘까요?

최악 혼잡도를 보이는 '가양~동작' 급행과 달리 이 구역을 지나는 일반 열차 혼잡도 역시 높지 않습니다. 급행 혼잡도가 234%에 달했던 염창역은 일반열차일 경우 199%로 내려갑니다. 물론 200%에 가까운 혼잡도라 사람이 적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다만 염창역 제외한 '가양~동작' 4개역 일반 열차 혼잡도는 급행열차 정차역 중 혼잡도가 가장 낮은 가양역(155%)보다 더 낮았습니다. 여의도역(88%)과 가양역(63%)는 100% 이하입니다.

왜 그럴까요? 바쁜 아침 출근길, 도착 시간이 더 걸리는 일반 열차는 그냥 보내고, 급행에만 승객이 몰린다는 뜻입니다. 일반열차와 급행열차의 배차간격은 1대1로 동일합니다. 조금 일찍 일어나 일반열차를 이용한다면 최악의 급행 혼잡은 피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서울시는 이른 시간 이용을 유도하기 위해 첫차부터 오전 6시 30분까지 기본요금의 20%를 할인해주고 있습니다.

# 3. 2·4·7호선 '역시나 여기였군'

서울 지하철 1~8호선 사정은 어떨까요? 2호선(외선순환) 서울대입구~교대 구간, 4호선(사당 방면) 성신여대입구~동대문 구간, 7호선(온수 방면) 용마산~건대입구 구간, 7호선(장암 방면) 철산~가산디지털단지 구간 등이 혼잡 상위권에 들었습니다.


▼ 서울 2호선 지하철 혼잡도 지도 : TIP 선 터치로 상세 데이터

9호선을 제외하면 2호선 서울대입구~교대 구간이 가장 사람이 많이 몰렸습니다. 혼잡도는 165~191%. 이 구간에 속한 5개 역 모두가 1~8호선을 통틀어 가장 혼잡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4호선은 동대문(1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2·5호선), 충무로(3호선) 환승역으로 이어지는 강북 지역에 혼잡도가 컸습니다. 또 강남지역 2호선과 경기도 권역 광역버스로 환승하는 사당역 주변 전철에 승객이 몰렸습니다.


▼ 서울 4호선 지하철 혼잡도 지도 : TIP 선 터치로 상세 데이터

7호선은 건대입구역(2호선)을 중심으로 환승 인파가 많이 몰렸습니다. 다만 4호선과 7호선 혼잡도는 국토교통부 권장 기준인 150%를 크게 넘어서지 않는 수준이었습니다.


▼ 서울 7호선 지하철 혼잡도 지도 : TIP 선 터치로 상세 데이터

# 4. '지옥철' 해결위해 태어난 9호선, 효과 없다?

9호선 1·2단계 구간(개화~종합운동장)은 강서 지역 환승 거점인 신도림, 당산 등의 승객 포화 수요를 분산하기 위해 만들었습니다. 문제는 9호선 개통 후에도 2호선 강남 구간의 오전 8시 혼잡도가 줄어들지 않고 있다는 점입니다.


▼ 2호선 구간별 혼잡도 비교 그래프 : TIP 선 터치로 상세 데이터

2호선(외선순환) 강남 구간 역들 중 혼잡도가 가장 높은 사당역의 경우 2011년 176%, 2013년 185%, 2015년 191%으로 9호선 개통 후에도 꾸준히 혼잡도가 커지고 있습니다. 급행 전철 호재로 강서지역 유입 인구가 급증하면서 9호선은 기존 혼잡구간 수요를 제대로 흡수하지 못한 채 또 하나의 '지옥철'로 전락한 셈입니다.

# 5. 9호선 출근길, 계속 '콩나물 시루' 가능성 높다

혼잡도를 완화할 근본적 해결책 '증차'입니다. 운행 전철을 늘리는 거죠. 서울시는 개통 당시 96량이던 9호선 전동차를 2011년 48량 증차했고, 올 8월 말 32량, 2017년 38량, 2018년 80량을 추가 도입해 총 294량으로 늘릴 계획입니다. 출·퇴근 시간대 급행열차 비중을 더 높이고, 전동차 한 편성당 량수를 현행 4량에서 6량으로 늘리는 대책도 내놓았습니다.

[관련 기사] '지옥철' 9호선 8월 말부터 증차…발 디딜 틈 생길까

그럼 증차로 9호선 '콩나물 시루' 문제가 해결될까요? 현재 9호선 하루 평균 수송인원은 약 50만명. 서울 강서지역에는 강남으로 출퇴근하는 직장인이 주로 사는 아파트가 밀집해있습니다. 9호선에는 김포공항, 당산, 여의도, 동작, 고속터미널 등 2호선, 5호선 4호선, 3호선의 대표적 환승 경유지가 잇달아 포진해있죠.

강서권역에는 올해 마곡 지구 8, 11, 12단지 입주와 9, 10단지 분양이 진행됩니다. 2018년에는 LG전자 등 LG그룹 산하 주요 계열사와 여타 기업이 마곡 산업단지로 이전도 준비하고 있죠. 마곡 산업단지 유동인구만 40만명으로 늘어날 전망입니다. 3단계 구간(종합운동장~보훈병원)이 개통하고, 인천공항철도가 9호선 철로로 강남권에 운영(직결)되면 고객 수요는 더 늘어날 전망이랍니다. 9호선과 맞물린 강서 개발 수요를 제대로 예측(시뮬레이션)하지 못하면 증차가 '콩나물 시루'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것으로 우려됩니다 !.!


# DJ 래빗? 뉴스래빗이 고민하는 '데이터 저널리즘(Data Journalism)' 뉴스 콘텐츠입니다. 어렵고 난해한 데이터 저널리즘을 줄임말, 'DJ'로 씁니다. 서로 다른 음악을 디제잉(DJing)하듯 도처에 숨은 데이터를 분석하고, 발견한 의미들을 신나게 엮여보려고 합니다.'뉴스래빗'의 다른 실험적 뉴스를 만나보세요!.!

책임= 김민성, 연구= 강종구 한경닷컴 기자 jonggu@hankyung.com
뉴스래빗 페이스북 facebook.com/newslabit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la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