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스마트시티’로 글로벌 도시혁명 선도해야.
입력
수정
-김병수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원장-
교통이 혼잡한 도로에서 교통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위치정보를 통해 그 즉시 운전자들에게 제공되어 다른 대체도로로 교통흐름을 안내하고, 자동으로 112/119로 연결되어 구급차 및 사고복구반이 출동하는 등 필요 조치가 동시에 행해진다. 또한, 물·에너지의 사용도 센서를 부착한 스마트 미터링을 통해 실시간 공급자와 수요자간 양방향 계측이 가능해 물·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해질수 있다. 이와 같이 우리는 향후 관련 인프라 서비스가 상호 연계 통합된 편리한 스마트시티에서 살게 될 것이다.
스마트시티는 말 그대로 똑똑한 도시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교통, 환경, 수자원, 에너지 등 도시의 인프라를 정보통신기술(ICT)과 연계하여 도시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지속가능한 도시모델’을 의미한다. 최근 많은 국가들이 에너지절감, 지능화된 첨단교통시스템 등 다양한 해결책을 모색하고, 이를 종합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스마트시티’에 주목하고 있다.
제4차 산업혁명으로 주목받고 있는 빅데이터,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은 도시를 기반으로 기술혁신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스마트시티는 이러한 제4차 산업혁명의 플랫폼이 된다. 미국은 2015년 ‘Smart Cities Initiative'를 선언하고 1억6000만달러의 R&D를 추진하고 있으며, 중국은 2015년 ’신형도시화계획‘에 따라 500여개 스마트도시 개발계획을 발표했다. EU는 스마트도시 기술을 활용해 CO2 배출량을 감소하기 위해 3억7000만 유로를 투자하는 등 세계 각국은 스마트시티 건설을 위해 국가차원에서 다양한 정책을 추진중이다. 세계 스마트시티 시장규모도 2014년 440조원에서 2019년 1200조원 이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대표적인 스마트도시로는, 교통관리가 효율적인 싱가포르, 스마트그리드로 구현하고 있는 바르셀로나 등을 들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서울, 송도 등이 방범, 방재, 교통 등의 기능을 갖춘 도시 통합관리 측면에서 국제적으로 인정받고는 있지만, 이 중 어느 곳도 진정한 의미의 스마트시티라고 평가받기에는 한계가 있다.
최근 스마트시티에 대한 국가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지난 10일 우리 정부는 국가전략프로젝트로 ‘세계 선도형 스마트시티 구축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도시 내 각종 인프라를 연계·통합하는 것은 물론, 도시의 다양한 공공정보를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하고, 기술성과를 실증까지 연계하여 스마트시티 통합모델을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스마트시티를 제대로 구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있고 시의적절했다고 생각한다. 우리나라는 2004년 화성, 동탄 신도시에 한국형 스마트시티라고 할 수 있는 U-City 개념을 최초로 도입한 이후, 부처별로 에너지, 교통, 공간정보, ICT 등 스마트시티 관련 세부 요소기술들을 개발해 왔으며, 이 중 일부 기술들은 세종, 청라, 판교 등 주요 신도시를 중심으로 시범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연구성과물들이 급격한 기술변화를 반영하지 못할 뿐 아니라, 도시 구성요소간의 연계를 통한 시너지를 이끌어 내지 못하고, 도시차원에서 종합적으로 구현하는데도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이번 국가전략프로젝트를 통해 부처별로 분산된 기술성과를 결집시키고, 물․ 에너지 등 주요 인프라 연계 및 유·무선 네트워크 간 통합을 이루어 낼 수 있다면, 우리도 글로벌 수준의 스마트시티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증사업을 통해 살아있는 스마트시티 모델을 구현해 낸다면 우리나라에서는 물론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한국형 스마트시티로 해외 진출도 확대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자율주행자동차, 드론, 공간정보 등 미래 신산업도 스마트시티라는 체계적인 기반을 구축하지 못하면 국가 성장동력 창출은 물론 도시의 미래를 장담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최근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쿠웨이트의 압둘라 신도시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을 발주하는 등 해외에서도 우리의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 만큼, 이제 도시의 인프라 고도화, 통합관리시스템 개발, 시민참여서비스 솔루션까지 패키지로 개발하고 실제 구현하게 된다면, 글로벌 도시혁명을 선도하는 국가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교통이 혼잡한 도로에서 교통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위치정보를 통해 그 즉시 운전자들에게 제공되어 다른 대체도로로 교통흐름을 안내하고, 자동으로 112/119로 연결되어 구급차 및 사고복구반이 출동하는 등 필요 조치가 동시에 행해진다. 또한, 물·에너지의 사용도 센서를 부착한 스마트 미터링을 통해 실시간 공급자와 수요자간 양방향 계측이 가능해 물·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해질수 있다. 이와 같이 우리는 향후 관련 인프라 서비스가 상호 연계 통합된 편리한 스마트시티에서 살게 될 것이다.
스마트시티는 말 그대로 똑똑한 도시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교통, 환경, 수자원, 에너지 등 도시의 인프라를 정보통신기술(ICT)과 연계하여 도시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지속가능한 도시모델’을 의미한다. 최근 많은 국가들이 에너지절감, 지능화된 첨단교통시스템 등 다양한 해결책을 모색하고, 이를 종합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스마트시티’에 주목하고 있다.
제4차 산업혁명으로 주목받고 있는 빅데이터,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은 도시를 기반으로 기술혁신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스마트시티는 이러한 제4차 산업혁명의 플랫폼이 된다. 미국은 2015년 ‘Smart Cities Initiative'를 선언하고 1억6000만달러의 R&D를 추진하고 있으며, 중국은 2015년 ’신형도시화계획‘에 따라 500여개 스마트도시 개발계획을 발표했다. EU는 스마트도시 기술을 활용해 CO2 배출량을 감소하기 위해 3억7000만 유로를 투자하는 등 세계 각국은 스마트시티 건설을 위해 국가차원에서 다양한 정책을 추진중이다. 세계 스마트시티 시장규모도 2014년 440조원에서 2019년 1200조원 이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대표적인 스마트도시로는, 교통관리가 효율적인 싱가포르, 스마트그리드로 구현하고 있는 바르셀로나 등을 들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서울, 송도 등이 방범, 방재, 교통 등의 기능을 갖춘 도시 통합관리 측면에서 국제적으로 인정받고는 있지만, 이 중 어느 곳도 진정한 의미의 스마트시티라고 평가받기에는 한계가 있다.
최근 스마트시티에 대한 국가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지난 10일 우리 정부는 국가전략프로젝트로 ‘세계 선도형 스마트시티 구축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도시 내 각종 인프라를 연계·통합하는 것은 물론, 도시의 다양한 공공정보를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하고, 기술성과를 실증까지 연계하여 스마트시티 통합모델을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스마트시티를 제대로 구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있고 시의적절했다고 생각한다. 우리나라는 2004년 화성, 동탄 신도시에 한국형 스마트시티라고 할 수 있는 U-City 개념을 최초로 도입한 이후, 부처별로 에너지, 교통, 공간정보, ICT 등 스마트시티 관련 세부 요소기술들을 개발해 왔으며, 이 중 일부 기술들은 세종, 청라, 판교 등 주요 신도시를 중심으로 시범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연구성과물들이 급격한 기술변화를 반영하지 못할 뿐 아니라, 도시 구성요소간의 연계를 통한 시너지를 이끌어 내지 못하고, 도시차원에서 종합적으로 구현하는데도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이번 국가전략프로젝트를 통해 부처별로 분산된 기술성과를 결집시키고, 물․ 에너지 등 주요 인프라 연계 및 유·무선 네트워크 간 통합을 이루어 낼 수 있다면, 우리도 글로벌 수준의 스마트시티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증사업을 통해 살아있는 스마트시티 모델을 구현해 낸다면 우리나라에서는 물론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한국형 스마트시티로 해외 진출도 확대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자율주행자동차, 드론, 공간정보 등 미래 신산업도 스마트시티라는 체계적인 기반을 구축하지 못하면 국가 성장동력 창출은 물론 도시의 미래를 장담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최근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쿠웨이트의 압둘라 신도시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을 발주하는 등 해외에서도 우리의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 만큼, 이제 도시의 인프라 고도화, 통합관리시스템 개발, 시민참여서비스 솔루션까지 패키지로 개발하고 실제 구현하게 된다면, 글로벌 도시혁명을 선도하는 국가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