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법인세 올려도 분배 개선 못해…지배구조 바꿔야"
입력
수정
지면A6
대표 임기만료 9일 앞두고 '경제민주화 특강'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는 18일 “법인세를 많이 거두자는 주장이 있지만, 법인세는 많이 걷히지 않는 세금”이라며 “법인세 인상도 최종적으로는 소비자에게 전가된다는 것이 조세 이론”이라고 말했다.
"세금만으로 경제구조 못 바꿔…재벌 독과점 막는 제도 도입 필요"
"경제민주화·활성화 함께해야"…소득 주도 성장론 등 역설
김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한 경제민주화 특강에서 “세금으로 재분배를 어느 정도 할 수 있지만 일차원적일 뿐”이라며 “잘못된 분배구조 시정은 세금으로 이뤄질 수 없다”고 지적했다. 법인세 인상으로 소득 양극화를 해소하는 데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법인세를 내려줬더니 기업 유보금만 쌓이고 투자를 안 한다”고 비판한 뒤 기업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재벌 오너 일가를 견제하는 것이 경제민주화의 출발점이라는 소신을 밝혔다.김 대표는 “경제민주화의 가장 초보적인 단계로 시작한 것이 (자신이 대표발의한) 상법 개정안”이라며 “기업의 지배구조 자체를 조정하지 않고서는 아무것도 조정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재벌이 골목상권에서 카페나 빵가게를 여는 것은 탐욕이 아니냐”며 “시장경제에서 자본주의가 안정되려면 소규모 자본으로 자신의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이 많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막연하게 시장에 맡기면 독과점이 생겨 경제적 비효율이 발생하고 사회적 혼란을 초래한다”며 정부와 국회의 적극적인 개입을 주문했다. 그는 특히 “경제민주화와 경제활성화는 함께해야 하는 것이지 배치되는 것이 아니다”고 주장했다.
김 대표는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의 정책을 경제민주화의 대표적 사례로 꼽았다. 김 대표는 “루스벨트가 대통령으로 취임한 뒤 독과점과 관련해 록펠러와 JP모간 등 굴지의 재벌을 해체했다”며 “루스벨트의 개혁 과정은 50~60년 걸렸지만 이를 통해 미국의 기본적인 경제구조가 변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경제민주화라는 표현만 쓰지 않았을 뿐이지 결국은 독과점과 거대경제 세력에 대한 규제를 시작한 것”이라고 설명했다.김 대표는 미국의 사례를 들어 소득 주도 성장을 역설했다. 김 대표는 “미국 사회는 1980년대 이후 약 30년간 근로자의 실질임금이 단 1%도 오르지 않았다”며 “저축하지 않고 은행에서 빚을 내 그동안 미국 경제가 버텼다”고 지적했다. 이어 “1% 대 99%(월가 시위 때 등장한 것으로 최고 부자 1%에 저항하는 미국인 99%라는 의미)의 구조가 돼 미국 사회가 지속적인 안정을 유지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대표는 “한국의 큰 문제는 남의 나라 문제를 잘못 해석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기만 기자 mg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