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미국 금리인상이 불러올 자본이동 충격에 대비하라
입력
수정
지면A35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임박했다는 예비신호가 켜졌다. 지난 주말 열린 잭슨홀 회의에서 재닛 옐런 미 중앙은행(Fed) 의장은 “견고한 고용시장과 미국 경제 전망 개선 측면에서 볼 때 최근 몇 달간 금리 인상을 위한 여건이 강화됐다”고 말했다. 시장은 이런 발언이 연 0.25~0.5%인 기준금리를 머지않아 올릴 것임을 시사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스탠리 피셔 Fed 부의장도 거들었다. 그는 CNBC 인터뷰에서 “옐런의 연설은 9월과 올해 중에 한 번 이상 금리 인상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그는 “지표를 확인할 때까지 알 수 없다”는 전제를 달았지만 연내 최소한 1회 이상 금리 인상은 시장에서도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다.
남은 문제는 시기와 횟수 정도인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29일(현지시간) 공개되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와 9월2일에 나오는 8월 고용동향이 이를 결정할 것으로 보고 있다. 고용동향에서 신규 일자리가 최근 3개월 평균(19만개) 이상 늘어나면 9월 인상은 충분히 무게가 실린다. 8월 고용 동향이 부진할 경우엔 11월이나 12월 인상이 점쳐진다. Fed가 지난해 12월 금리를 올린 만큼 경제지표가 크게 호전되지 않더라도 1년여 만의 인상에는 큰 부담을 갖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결국 연말까지 미국 기준금리는 최소한 연 0.5~0.75% 수준은 될 것이다.
미국의 금리 인상은 글로벌 시장은 물론 한국 시장에도 적잖은 영향을 줄 게 분명하다. 당장 옐런 의장의 발언 직후 미 국채금리가 급등했고 달러인덱스는 하루 만에 0.8%나 올랐다. 지난해 12월 미국 기준금리 인상 후 다우지수는 한 달 새 11.2%, 코스피지수는 6.7%가량 떨어졌다. 원·달러 환율은 두 달여 새 4.7%나 올랐다. 이후 시장이 금리 인상 이전 상태를 회복하는 데는 대략 3개월이 걸렸다. 이번에는 충격이 더 크고 장기화될 수도 있다. 산업 구조조정 등으로 추가 금리 인하 압박을 받고 있는 한국은행으로서는 운신의 폭이 그다지 크지 않다. 금리와 환율 동향에 각 경제주체의 치밀한 대응이 필요하다.
남은 문제는 시기와 횟수 정도인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29일(현지시간) 공개되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와 9월2일에 나오는 8월 고용동향이 이를 결정할 것으로 보고 있다. 고용동향에서 신규 일자리가 최근 3개월 평균(19만개) 이상 늘어나면 9월 인상은 충분히 무게가 실린다. 8월 고용 동향이 부진할 경우엔 11월이나 12월 인상이 점쳐진다. Fed가 지난해 12월 금리를 올린 만큼 경제지표가 크게 호전되지 않더라도 1년여 만의 인상에는 큰 부담을 갖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결국 연말까지 미국 기준금리는 최소한 연 0.5~0.75% 수준은 될 것이다.
미국의 금리 인상은 글로벌 시장은 물론 한국 시장에도 적잖은 영향을 줄 게 분명하다. 당장 옐런 의장의 발언 직후 미 국채금리가 급등했고 달러인덱스는 하루 만에 0.8%나 올랐다. 지난해 12월 미국 기준금리 인상 후 다우지수는 한 달 새 11.2%, 코스피지수는 6.7%가량 떨어졌다. 원·달러 환율은 두 달여 새 4.7%나 올랐다. 이후 시장이 금리 인상 이전 상태를 회복하는 데는 대략 3개월이 걸렸다. 이번에는 충격이 더 크고 장기화될 수도 있다. 산업 구조조정 등으로 추가 금리 인하 압박을 받고 있는 한국은행으로서는 운신의 폭이 그다지 크지 않다. 금리와 환율 동향에 각 경제주체의 치밀한 대응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