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어시장에 들어선 이마트 '노브랜드'…"새 상생모델 탄생"
입력
수정

이갑수 이마트 대표는 31일 당진어시장 상생스토어 개점 기자간담회를 열고 "상생 모델이 널리 알려져 지자체와 전통시장의 더 많은 노크(제안)를 기대한다"며 이 같이 밝혔다.이마트는 이날 충남 당진시 읍내동 당진 전통시장 안 당진어시장 2층에 상생스토어를 열었다. 1층에 어시장(1650㎡)이 영업하고 2층에 노브랜드 전문점(410㎡)이 희망 장난감 도서관(250㎡), 카페(50㎡) 등과 함께 들어섰다.
전통시장 반경 1km 이내에, 특히 같은 건물에 전통시장과 대형 유통업체가 함께 들어선 것은 2010년 유통산업발전법이 개정된 후 처음이다.
이를 가능하게 한 것은 당진시장 상인회에서 이마트에 제안했기 때문이다. 당진 어시장은 지난해 6월 현대화 작업을 통해 새 건물에 입주했으나 2층 운영 주체를 찾지 못해 반쪽 영업을 해왔다. 그러던 중 서울 중곡제일시장과 이마트에브리데이와의 상생 사례를 접하고 지난해 8월 이마트에 입점 가능 여부를 타진하게 됐다.이는 당진 전통시장과 이마트가 민간 차원의 합의로 새 상생 모델을 만들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고 이마트는 강조했다.
이마트는 당진시에 신규 점포를, 당진어시장은 2층 공실 해결을 통한 영업활성화에 나설 수 있게 됐다고 자평했다. 여기에 이마트의 브랜드력을 통해 집객 효과가 발생, 당진 전통시장 상권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마트는 상생 차원에서 상품 구성 시 지역 특산물인 김과 축산 등 신선식품을 제외했다. 가공식품과 생활용품을 중심으로 약 950여 종의 핵심 상품만 판매해 전통시장과의 상생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했다는 설명이다.또한 당진시 인구 중 30~40대가 많다(32.1%)는 점에 주목해 젊은 소비자에게 인기가 높은 최저가 지향 자체브랜드(PB) 노브랜드로 전문점 매장을 구성했다.
정제의 당진시장 상인회장은 "처음에는 대형마트가 2층 전면(350㎡)에 들어올 수 있다는 우려와 고정 관념 때문에 반대하는 상인들이 있었다"면서도 "중복되는 품목을 판매하지 않는다는 이마트의 배려와 장난감 도서관 등의 시설 확충이 상인 간 입점 동의를 이끌어냈다"고 말했다.
노브랜드 당진어시장점의 첫 해 매출 목표는 17억원이다. 전통시장과 공동으로 다양한 프로모션을 진행해 집객은 물론 어시장과 연계 구매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이 대표는 "당진의 경우 신선식품을 제외하고 젊은 소비자층 공략을 위해 노브랜드를 입점시켰으나 향후 다양한 상생 모델이 나올 수 있다고 본다"며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도 상생 모델로 가꿔나가자란 생각을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