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인구주택총조사] 확 늙어버린 대한민국…지자체 3곳 중 1곳 '초고령사회'
입력
수정
지면A10
한국 '인구 허리' 41.2세전체 인구를 일렬로 세웠을 때 딱 가운데 해당하는 국민의 나이를 뜻하는 ‘중위연령’이 지난해 처음으로 40대(41.2세)에 진입했다. 개발도상국인 중국(36.8세) 인도(27.3세)는 물론, 선진국인 미국(37.8세) 프랑스(41.1세)보다 높은 수치다. 하봉채 통계청 등록센서스과장은 “다른 나라에 비해 고령화 진행 속도가 너무 빠른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말했다.
중국 36세·인도 27세와 격차
일본·독일보다 아직 낮지만 고령화 속도는 가장 빨라
전남 65세이상 비율 21%…부산도 고령사회로 진입
고령인구 비율 7% 미만은 울산 북구·대전 유성 2곳 뿐
☞이미지 크게보기어린이와 노인 인구 1 대 1 시대
통계청이 7일 내놓은 ‘2015 인구주택총조사’ 자료에서 한국의 고령화 속도를 보여주는 가장 대표적인 수치는 노령화지수다. 유소년 인구(0~14세) 대비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을 나타내는 노령화지수는 1985년 14.5에서 2000년 35.0으로 높아진 뒤 작년엔 95.1로 뛰어올랐다. 유소년인구는 급격히 감소하고 있는 반면 고령인구는 계속 불어났기 때문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세계적으로 유례없을 정도의 상승세”라고 설명했다.
전체 인구 중 고령인구 비율이 7% 이상인 ‘고령화사회’에 진입한 뒤 14% 이상인 ‘고령사회’로 들어선 기간을 살펴보면, 프랑스가 115년 걸린 것을 비롯해 영국(92년) 독일 이탈리아(80년) 미국(72년) 등 모두 반 세기 이상의 시간이 소요됐다.반면 2000년 고령화사회로 진입한 한국은 내후년인 2018년 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간이 불과 18년으로 고령화 속도가 세계 최고라는 일본(24년)보다 짧다. 생산가능인구 100명당 고령인구 비율을 뜻하는 노년부양비도 2010년 15.1에서 지난해 18.1로 상승했다.
초고령사회 진입 지자체 82곳
산업기반이 없어 일자리가 부족한 데다 출산율도 낮은 지방의 고령화 수준이 특히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고령인구 비율이 28.0%로 이미 초고령사회인 면 단위에 이어 지난해엔 읍 단위의 고령인구 비율도 14.8%로 고령사회로 진입했다.읍·면 단위 농촌이 많이 있는 전라남도는 고령인구 비율이 5년 전인 2010년 19.0%에서 지난해 21.1%로 높아지며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처음으로 초고령사회로 진입했다. 전라북도(2010년 15.5%→2015년 17.9%) 경상북도(15.8%→17.8%) 강원도(14.9%→16.9%) 충청남도(14.7%→16.3%) 충청북도(13.3%→14.8%) 부산시(11.4%→14.7%) 제주도(12.4%→14.1%) 등도 이번 조사에서 고령사회로 나타났다.
지난해 전남을 포함해 고령사회로 나타난 광역자치단체는 8개로, 2010년보다 세 곳 늘었다. 지난해엔 ‘제2의 도시’인 부산마저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산업공동화로 젊은 층이 서울 및 수도권이나 김해 울산 등 인접 도시로 이동한 탓으로 분석된다.
기초자치단체로 보면, 전국 229개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고령인구 비율이 7% 미만인 젊은 지자체는 울산 북구와 대전 유성구 등 두 개뿐이었다. 5년 전엔 11개, 10년 전엔 47개 지자체가 해당했다. 울산북구(6.4%)와 대전 유성구(6.9%)도 다음 조사 때인 5년 뒤엔 고령화사회로 진입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초고령사회로 들어선 지자체는 2005년 63개에서 2010년 72개를 거쳐 2015년 82개로 조사 때마다 10% 이상씩 늘어나고 있다. 고령사회로 들어선 도시도 같은 기간 37개→39개→52개로 불어났다.
김재후 기자 h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