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빈 영장 기각에 롯데 경영비리 수사 차질 불가피

롯데그룹 비리의 정점으로 지목된 신동빈(61) 회장의 구속영장이 29일 법원에서 기각됨에 따라 검찰 수사가 반전의 계기를 마련하지 못하고 마무리될 공산이 커졌다.

그룹 총수를 구속해 올 6월부터 3개월 넘게 매달려온 롯데 수사에서 '유종의 미'를 거두겠다는 검찰의 복안도 빛이 바랬다. 검찰은 법원 판단에 당혹 내지 난감해 하는 분위기다.서울중앙지검 롯데수사팀은 이달 20일 신 회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 조사한 이후 엿새 만인 26일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국가 경제 등 수사 외적인 부분과 영장 기각 가능성까지 포함해 장고 끝에 내린 결정이었다.

검찰은 전날 신 회장의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에 주력부대인 특수4부의 조재빈 부장검사를 비롯해 수사검사 4명을 동원하는 등 배수진을 쳤지만, 최악의 상황을 피하지 못했다.과거 경영비리에 연루된 재벌 총수의 구속영장이 기각된 사례는 많지 않다.

근래 들어선 2013년 횡령 및 법인세 포탈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은 조석래(81) 효성그룹 회장 정도가 언급된다. 조 회장은 영장 기각 후 불구속 기소됐다.

특별한 상황 변화가 없는 한 검찰이 영장을 재청구할 가능성은 작아 신 회장도 같은 수순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영장 기각으로 종착역을 향해 가는 검찰 수사가 차질을 빚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검찰이 신 회장을 배후로 의심하는 롯데케미칼의 270억원대 소송 사기와 200억원대 통행세 비자금 의혹도 미완으로 종결될 가능성이 커졌다.

롯데홈쇼핑의 9억원대 비자금 조성 및 정·관계 로비 의혹의 실체 규명도 난항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롯데홈쇼핑 수사는 지난 7월 강현구 사장의 구속영장이 기각돼 이미 동력이 크게 떨어진 상황이다.

검찰은 신 회장을 구속한 뒤 강 사장의 구속영장을 재청구해 다시 수사에 시동을 건다는 복안이었으나 현 상태에선 계획 수정이 불가피해 보인다.

이번 수사의 최대 현안인 총수 일가 비자금 부분도 규명되지 못한 채 미제로 남을 공산이 크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