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미디어 뉴스룸-MONEY] 18세기 조선은 한우물 판 '마니아'들의 천국

눈만 뜨면 꽃만 봤던 김덕형
수만권 읽어 눈병 난 이덕무 등
관심 분야서 최고 된 사람들
조선 실학자 박제가는 꽃에 미친 규장각 서리 출신 김덕형의 꽃 그림책 <백화보> 서문에 이렇게 썼다. “벽(癖)이 없는 사람은 버림받은 자이다. 홀로 걸어가는 정신을 갖추고 전문 기예를 익히는 건 벽이 있는 사람만이 할 수 있다.” 벽은 버릇이나 습관을 말한다.

조선의 18세기는 마니아 시대였다. 눈만 뜨면 꽃밭으로 달려가 종일 꽃만 봤다는 김덕형은 얌전한 축에 속한다. 수만권을 독파하고 눈병에 걸려서까지 실눈으로 책을 읽어 간서치(刊書痴·책만 읽은 바보)라 불린 이덕무(李德懋), 명문가 출신으로 돌만 보면 벼루를 깎아 석치(石癡·돌에 미친 바보)라는 호를 얻은 정철조(鄭喆祚)도 있다.안대회 성균관대 한문학과 교수는 “자기가 잘할 수 있고 잘하고 싶은 분야를 선택해 새 경지를 개척한 주역들로 오늘날에는 전문가 또는 프로라고 부르지만, 당시에는 벽(癖·고질병자), 광(狂·미치광이), 나(懶·게으름뱅이), 치(痴·바보), 오(傲·오만한 자)라는 표현이 그들을 따라다녔다”고 말했다. 벽광나치오(癖狂懶痴傲), 다시 말해 미친 사람들이다.

이들은 18세기 조선을 뒤흔들었다. 마니아의 취향에 따라 새로운 시장을 만들었고, 사상의 근간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성리학의 나라 조선에서 지식인의 지적 토대는 주자학 위에 세워졌다. 물질보다 정신, 외면보다 내면적 원리를 밝히는 게 중요하고 완물상지(玩物喪志·사물에 몰두하면 뜻을 잃게 된다)를 강조한 학문이다.

김기봉 경기대 사학과 교수는 “외적 대상에 미칠 정도로 빠져드는 일은 하찮은 물건을 통해서도 도에 이를 수 있다는 태도였다”며 “이는 실학과 실사구시의 자연과학적 탐구 정신과 통한다”고 말했다.‘꾼’들이 활개쳤다는 것도 또 하나의 특징이다. 취미로 즐기는 것뿐만 아니라 전문 직업인으로서 최고의 자리에 앉은 사람이 도처에 있었다. 그중에는 선비도 있었고 중인이나 평민, 천민과 기생도 있었다. 사대부 정란은 선비의 길을 걷다가 여행가의 길로 돌아서 평생을 여행가로 살았고, 무인 집안 출신 검객이던 탁문환은 천민이 즐겨 하던 탈춤판에 뛰어들어 당대 최고의 탈춤꾼이 됐다.

이현주 한경머니 기자 charis@hankyung.com

키워드로 보는 18세기 인문학은 한경 머니 10월호 빅스토리에서 자세히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