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수명 83세-행복수명 75세…'걱정되는 8년의 노후생활'

생보사회공헌위원회, 행복수명지수 첫 발표
한국인의 종합적 노후준비 수준을 평가하는 '행복수명지표'가 나왔다. 해당 조사 결과 우리나라 국민의 기대수명(평균 83.1세)보다 행복수명(평균 74.9세)이 8.2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는 서울대 노년은퇴설계지원센터와 공동으로 '행복수명지표'를 개발, 20대 이상 경제활동인구 155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10일 처음 발표했다.이 지표는 행복한 노후생활에 필요한 핵심 요소를 △건강 △경제 △대인관계 △사회참여 및 여가활동 4개 영역으로 구분해 각 영역에 대한 객관적 준비 수준, 주관적 만족도, 준비 계획 등을 총 40개 문항으로 측정했다.

사회인구학적 특성별로 살펴보면 여성(76.3세)이 남성(74.0세)보다, 기혼자(75.9세)가 미혼자(72.7세)보다, 자녀가 있는 경우(76.3세)가 없는 경우(71.9세)보다 행복수명이 길었다.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행복수명도 길어졌다.

영역별로는 건강수명 76.4세, 경제수명 74.8세, 활동수명 73.2세, 관계수명 75.7세로 각각 집계됐다.생명보험사회공헌위는 "전반적인 노후준비 부족으로 생존기간 중 약 8년 이상 행복한 삶을 지속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행복수명지표 연구를 맡은 최현자 서울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단순히 점수의 높고 낮음을 통해 노후준비 수준을 알려주던 기존의 지표와 달리 '수명'의 개념을 적용, 자신의 노후준비 수준을 기대수명과의 격차를 통해 제시해 노후준비의 필요성을 체감할 수 있게 했다"며 "부족한 부분을 채우려 노력하면 행복수명은 늘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