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주가, 삼성 갤노트7 생산중단 호재로 또 상승

갤럭시노트7 전면 생산중단이라는 삼성전자의 악재가 애플에는 호재로 작용했다.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 나스닥에 상장된 애플 주식은 11일(현지시간) 거래에서 0.22% 상승 마감했다.전날 1.74% 오른 것과 비교하면 상승 폭이 크지 않지만, 이날 나스닥 지수가 1.54% 내린 것을 고려하면 애플에 대한 투자가 많았음을 알 수 있다.

하락장에도 불구하고 애플의 주가가 상승 마감한 것은 삼성전자 갤노트7 파동의 반사이익이라고 전문가들은 해석됐다.

애플과 함께 혜택을 볼 것으로 예상했던 구글의 주가는 이날 0.56% 내렸다.삼성전자는 이날 미국 증시가 개장하기 전에 갤노트7의 생산을 중단하기로 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홍채 인식 기술 등 새로운 기술을 도입해 전문가들로부터 호평받았던 삼성전자의 야심작이 불과 2개월 만에 막을 내린 것이다.

갤노트 파동 때문에 애플이 이익을 얻을 것이라는 분석은 쏟아지고 있다.아이폰의 판매가 예년보다 느리게 진행되면서 올해 판매량이 작년보다 줄 것이라는 관측을 반전시키기에 충분한 호재가 등장한 것이다.

현재 11.8%인 아이폰의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이 1% 포인트 올라갈 것이라는 전망과 이렇게 되면 작년보다 줄 것으로 예상하는 아이폰 판매량의 감소 폭이 줄어들 것이라는 관측까지 나오고 있다.

반대로 삼성전자의 손실은 4분기에만 28억 달러(약 3조1000억원)가 될 것으로 매쿼리 그룹은 예상했다.또 스트레이터지 어낼리틱스(Strategy Analytics)는 총 100억 달러 이상을 잃을 것이라면서 나아가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사업 등 다른 사업에도 나쁜 영향이 초래될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삼성전자에 미칠 타격이 의외로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예상도 나오고 있다.

CNBC는 이날 "노트 시리즈가 삼성전자 스마트폰 판매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5∼6%에 불과하다"는 서스쿼해나(Susquehanna) 수석 애널리스트 메흐디 호세이니의 발언을 보도했다.호세이니는 또 "내년 초에 갤럭시S8이 나오면 노트 시리즈로부터 생긴 삼성전자의 부정적인 환경이 사라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