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잡해진 재테크 공식] 달러 오를 땐 금·원유 팔아라?…'투자 공식' 무조건 따라하다간 낭패
입력
수정
지면B5
달러 강세에 金 맥 못추는데 유가는 '껑충'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달러와 원자재, 귀금속 투자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통상 미국 금리 인상을 앞둔 달러 강세 국면에선 금과 원자재 가격이 약세로 돌아선다. 달러가 비싸게 거래될 때 굳이 실물자산을 사들일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달러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 금과 원유 하락에 베팅하는 인버스 ETF가 정석적인 투자 포트폴리오인 셈이다.
브렉시트 경착륙 땐 동반 강세 가능성도
변동성 큰 시장, 투자 위험 줄이는 게 관건
예측 불가능한 달러·금 가격미국 금리 인상이란 이벤트에도 불구하고 달러 매수를 추천하는 전문가는 의외로 많지 않다. 일부 전문가는 “이미 충분히 올랐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12월 금리 인상이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면서 가격 반영이 끝났다는 설명이다. 유럽중앙은행(ECB)이 양적완화를 줄이는 ‘테이퍼링(tapering)’에 들어갈지 여부도 달러와 원자재, 귀금속 가격에 변수가 될 수 있다.
이달 들어 가장 큰 변동성을 보이고 있는 자산은 금이다. 지난 14일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국제 금 가격은 전일보다 1.90달러(0.15%) 하락한 온스당 1253.1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금 가격은 최근 급격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4일에는 2013년 12월 이후 가장 큰 폭(-3.26%)으로 급락한 데 이어 7일엔 1250달러 선(온스당 1248.80달러)마저 무너졌다. 올해 최고점이던 지난 7월6일의 온스당 1364.90달러와 비교하면 100달러 이상 떨어진 것이다.
반면 달러인덱스는 금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달러인덱스는 지난달 30일 95.38에서 이달 14일엔 97.99까지 올랐다. 3월 이후 최고치다. 달러인덱스는 주요국 통화에 대한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지표다. 수치가 올라가면 달러가 강세를 띤다는 의미다.금과 달러인덱스만 보면 전형적인 금리 인상기의 풍경이다. 통상 달러 가치와 금 가격은 반대로 움직인다. 달러 가치가 올라가면 금이나 원유, 부동산 같은 실물자산에 대한 투자수요가 줄어든다. 또 이들은 국제 시장에서 달러로 거래되기 때문에 금은 달러 가치가 오를 경우 1달러로 살 수 있는 양이 늘어 가격이 하락하는 결과가 나온다.
하지만 금과 더불어 대안 투자처로 꼽히는 원유 가격의 움직임은 딴판이다. 공식대로면 금값과 비슷한 궤적을 보여야 하지만 달러 이상으로 강세를 이어가고 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 서부텍사스원유(WTI)는 14일 배럴당 50.35달러에 거래됐다. 8월2일 배럴당 39.51달러였던 WTI 가격이 20% 이상 상승한 것이다.
방향성 매매는 지양해야전문가들은 금리 인상기라고 하더라도 달러를 사고 귀금속과 원자재를 파는 전통적인 ‘투자 공식’을 활용하긴 힘들다고 입을 모은다. 우선 시장이 선제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미국이 금리 인상의 방향을 정한 것만으로 달러인덱스에 대한 가격 반영이 끝났다는 설명이다.
개별 상품별 최근 1년간 가격 흐름을 보고 투자시점을 결정해야 한다는 조언도 있다. 홍춘욱 키움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상품 특성상 오르고 내리는 사이클이 있는 만큼 당장 손실이 발생한다고 해도 길게 보고 기다리면 수익을 낼 기회가 온다”고 말했다.
여기에 ECB의 양적완화 조기 종료와 ‘하드브렉시트(영국과 유럽연합 간 충분한 조율 없이 체결되는 브렉시트)’ 변수 등도 고려해야 한다. 손재현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하드브렉시트로 영국 파운드화 가치가 하락하면 금과 달러화가 동반 강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자산 배분 비중은 변동성과 위험성향에 맞춰 조정하는 게 좋다. 올해 유가가 30% 올랐다면 반대로 30% 빠질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유가 관련 상품에 투자할지 여부와 비중 등을 정해야 한다는 얘기다. 손 연구원은 “자산 배분은 결국 얼마나 투자 위험을 줄이느냐의 문제”라며 “바닥이라는 확신이 없는 시점엔 굳이 투자 비중을 늘릴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김우섭 기자 dut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