되살아난 소비…미국, 저물가 시대 끝나나
입력
수정
지면A12
9월 물가지수 1.7% 상승…연내 금리인상 신호 뚜렷해져
10년물 채권금리도 급등…유로존도 2년여 만에 '최고'

미국의 지난 9월 근원 소비지출(PCE) 물가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1.7% 상승했다. 이는 8월과 같은 수준으로 Fed의 관리목표치 2%를 밑도는 것이다. 하지만 개인소득과 소비지출이 증가하면서 향후 인플레이션율 상승 신호를 보내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분석했다. 9월 개인소득은 한 달 전보다 0.3% 증가했고, 소비지출은 0.5% 늘어나 전망치(0.4%)를 넘어섰다.Fed의 금리인상 가능성은 채권 금리에 이미 반영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국채(10년물) 금리가 10월 한 달간 0.23%포인트 올라 연 1.83%까지 상승했다. 월간 상승폭으로는 지난해 6월 이후 가장 컸다. 기준금리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2년 단기물 금리도 지난달 0.085%포인트 상승해 연 0.84%까지 올랐다. 채권금리 상승은 가격 하락을 뜻한다. 30년 장기물 금리는 같은 기간 0.25%포인트 오른 연 2.58%까지 솟구쳤다.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도 ‘초저물가’라는 잠에서 깨어나고 있다. 유럽연합(EU) 통계기구 유로스타트는 유로존의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1년 전보다 0.5% 오르며 2014년 6월 이후 2년4개월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영국은 조만간 인플레이션 관리목표치인 2%에 도달할 전망이다. 브렉시트(EU 탈퇴) 결정 이후 파운드화 가치 하락으로 수출이 늘면서 3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0.5%로 전망치(0.3%)를 웃돌았다.
뉴욕=이심기 특파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