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신기후체제 출범, 에너지 신산업 길 열렸다
입력
수정
지면A35
"전세계가 함께하는 온실가스 감축지난 4일 파리기후협약이 공식 발효됐다. 지난해 12월 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1)를 통해 협약이 채택된 지 채 1년이 안 돼 발효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세계가 지구온난화를 비롯한 기후 변화의 심각성에 사회적 책임을 공감하고 십시일반(十匙一飯)의 뜻을 모아 ‘온실가스 감축, 지구 온도 상승억제’란 공동 목표를 향한 출발선에 선 것이다.
ICT 기반 선제적 대응역량 확보
에너지산업 '스마트 혁신' 꾀해야"
강남훈 < 한국에너지공단 이사장 >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1, 2위를 다투는 중국과 미국도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동참하고 있다. 파리협약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공약으로 미국은 2025년까지 2005년 수준에서 26~28%의 온실가스 감축을 목표로 설정하고 이를 위해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8%까지 늘리기로 계획하는 한편, 전기차 보급 촉진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중국은 2030년까지 2005년 대비 60~65%의 온실가스 감축계획을 세우고 2020년까지 전기차 500만대 보급, 비화석연료 비중 20% 달성을 위해 각고의 노력을 하고 있다. 한국 역시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전망치(BAU) 대비 37% 감축 목표를 이행해야 한다. 이런 도전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가진 정보통신기술(ICT) 및 제조기술을 바탕으로 에너지신산업에 집중 투자해 신기후체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역량을 확보해 나가야 한다.그동안 정부는 태양광대여, 에너지자립섬, 전기차, 제로에너지빌딩 등 에너지신산업의 주요 사업모델을 선정해 신시장 창출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다져왔다. 지난해 11월 ‘2030 에너지신산업 확산 전략’과 같은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고, 지난 7월 ‘에너지신산업 성과확산 및 규제개혁 종합대책’을 발표하는 등 신산업 투자와 규제개혁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마련해왔다. 이를 바탕으로 시장의 조기 활성화와 기업의 안정적인 시장 안착을 위한 마중물 역할을 강화하고 기업과 상생(相生)하는 산업구조 청사진을 그려나가고 있다.
기업의 역할 또한 중요하다. 정부의 각종 정책적·재정적 지원을 밑거름 삼아 우리 기업들은 에너지저장시스템(ESS), 건축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 스마트그리드 등과 같이 ICT를 융합한 혁신적인 기술과 사업모델을 연구 개발해야 한다. 또 신기술을 활용한 제품 생산 및 수출을 위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는 등 과감한 투자에 나설 필요가 있다. 기업이 미래 에너지산업을 이끌어 가는 주체가 되고, 민관이 신뢰관계를 형성해 건전한 에너지산업 발전과 국가 경제성장을 위한 성과를 극대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지금껏 일궈온 에너지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만나볼 ‘2016 대한민국 에너지대전’이 11일까지 경기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다. 에너지신산업 제품 및 기술과 세계에너지협의회(WEC) 국제에너지 심포지엄, 제로에너지빌딩 융합얼라이언스 등 각종 포럼을 통해 국내외 기업 간 정보와 지식을 공유하는 자리다. 에너지산업의 미래를 조망해보는 시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사이버 스페이스’란 용어를 처음 사용한 미국의 공상과학 소설가 윌리엄 깁슨은 “미래는 이미 와 있다. 단지 널리 퍼져 있지 않을 뿐이다”고 말했다. 신기후체제 속 미래의 에너지산업은 ICT를 융합한 신산업이 중심이 돼 움직일 것이다. 집집마다 설치된 태양광 설비에서 만들어진 에너지를 이웃과 주고받고, 자율주행이 가능한 전기차를 타고 출근하며 사물인터넷(IoT)을 적용한 스마트한 업무 환경에서 일하는 미래는 이미 가까이 와 있다. 국내 에너지산업의 스마트한 혁신과 눈부신 성장을 위해 정부와 기업이 협력을 더욱 강화해야 할 때다.
강남훈 < 한국에너지공단 이사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