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사서 1~2주마다 점포 운영 지원…미국식 피자맛 유지…경쟁력 충분"
입력
수정
지면B5
성공 프랜차이즈 - 전호진 파파존스 구로점 사장

전호진 파파존스 구로점 사장(26·사진)은 지난해 11월부터 구로역에서 82.5㎡(약 24평) 규모로 파파존스 구로점을 운영하고 있다.전 사장은 파파존스에서 최연소 가맹점주다. 구로점을 운영하기 전에는 대학생 신분으로 취업을 준비해야 하는 청년이었다. 진로에 대한 확신이 없는 상황에서 고민만 하고 있었다. 주말엔 파파존스에서 아르바이트를 했다. 그러던 중 당시 파파존스를 운영하는 사장이 매장을 양도할 사람을 찾는다는 소식을 듣고 창업을 결심했다.
전 사장은 “파파존스에서 아르바이트를 해왔기 때문에 재료 관리가 철저하다는 점을 몸소 느낄 수 있었다”며 “별다른 고민 없이 창업을 결정하게 됐다”고 밝혔다. 전 사장은 부모님으로부터 투자금을 받아 동갑내기 친구와 함께 동업하기로 했다.
파파존스에 대해 잘 안다고 자신한 전 사장도 점주가 되기까진 쉽지 않았다. 전 사장은 “점주가 되기 위해 한 달 동안 매일 교육받고 1~4단계 시험을 통과해야 했다”며 “피자에 들어가는 재료의 정량을 맞춰야 해 생각보다 외워야 할 수치가 많았다”고 말했다.파파존스는 정확한 정량을 지켜 미국 현지의 맛을 그대로 구현해내고 있다는 점을 강점으로 꼽았다. 전 사장은 “본사에서 1~2주마다 매장에 방문해 운영상황을 살펴보고 점포 운영에도 도움을 주고 있다”고 전했다.
구로역 근처에 있는 피자업체만 10개에 달한다. 파파존스 구로점은 이동인구가 많지 않은 준상권이지만, 꾸준하게 매출이 오른다고 했다. 전 사장은 “파파존스 브랜드는 국내에서 마니아층을 중심으로 알려져 있다”며 “미국식 피자맛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충분히 경쟁력이 있다”고 강조했다.
전 사장은 직원들과 함께 배달까지 하고 있다. 그는 “젊다보니 아르바이트생으로 아는 손님이 많다”며 “덕분에 소비자들의 생생한 얘기를 들을 수 있다”며 “이를 통해 시야가 넓어지는 것 같다”고 말했다. 전 사장은 구로점 외에도 파파존스 점포를 추가로 내는 것이 목표다.
고은빛 기자 silverligh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