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트럼프의 한·미FTA 재론, 구조개혁의 기회로 삼자
입력
수정
지면A35
미국이 도널드 트럼프 시대를 맞아 기존 무역협정의 재검토 쪽으로 빠르게 옮겨가는 분위기다. 오바마 정부가 트럼프 당선 사흘 만에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비준 포기를 밝힌 게 그렇다. 공화당이 상·하 양원을 장악하면서 비준 동력도 급속히 약해진 마당이다. 트럼프 취임 100일 과제에는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폐기나 재협상도 명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미자유무역협정(FTA)은 여기에 포함이 안 됐다고 하지만 트럼프 당선자가 선거과정에서 한·미FTA를 ‘깨진 약속’이라고 한 만큼 어떤 형태로든 영향을 받을 게 분명하다. 트럼프의 두뇌집단으로 불리는 헤리티지재단이 한·미FTA의 완전한 이행을 압박하는 것도 그 일환으로 보인다.
한·미FTA의 폐기는 미국 내에서도 반론이 만만치 않아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그런 점에서 가능성이 가장 높은 시나리오는 재협상일 것이다. 그리고 그 재협상의 핵심은 헤리티지재단이 주장하는 것처럼 한·미FTA의 완전한 이행 요구가 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배적인 분석이다.문제는 한국의 대응이다. 일각에서는 미국 측의 압박이 한국에 상당한 부담이 될 것이라고 우려한다. 하지만 꼭 그렇게만 볼 것은 아니다. 미 의회가 한·미FTA와 관련해 그동안 한국 측에 불만을 내보인 부분을 보면 보험 약가 결정과정의 투명성, 공정거래위원회 조사의 투명성, 법률시장 개방, 불법 복제 소프트웨어 등과 관련한 문제였다. 이 중엔 우리가 봐도 수긍이 가는 점이 적지 않다. 가령 약가 결정이나 공정위 조사는 국내 기업들로부터도 불만을 사는 부분이다. 지식재산권 보호도 마찬가지다. 법률시장 역시 국회에서 이행법안이 통과됐지만 외국로펌 지분을 49% 이하로 제한하며 미국의 항의를 초래한 바 있다. 이런 부분은 미국의 압박 여부를 떠나 한국을 위해서도 마땅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FTA를 맺었으면 그 취지에 맞게 제대로 이행하는 게 맞다. 안에서 자꾸 시장을 닫으려고 하면 경쟁력만 더 떨어질 뿐이다. 미국의 보호무역이나 통상압력으로 볼 게 아니라 한국을 위한 구조개혁의 기회로 받아들이는 게 백번 옳다.
한·미FTA의 폐기는 미국 내에서도 반론이 만만치 않아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그런 점에서 가능성이 가장 높은 시나리오는 재협상일 것이다. 그리고 그 재협상의 핵심은 헤리티지재단이 주장하는 것처럼 한·미FTA의 완전한 이행 요구가 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배적인 분석이다.문제는 한국의 대응이다. 일각에서는 미국 측의 압박이 한국에 상당한 부담이 될 것이라고 우려한다. 하지만 꼭 그렇게만 볼 것은 아니다. 미 의회가 한·미FTA와 관련해 그동안 한국 측에 불만을 내보인 부분을 보면 보험 약가 결정과정의 투명성, 공정거래위원회 조사의 투명성, 법률시장 개방, 불법 복제 소프트웨어 등과 관련한 문제였다. 이 중엔 우리가 봐도 수긍이 가는 점이 적지 않다. 가령 약가 결정이나 공정위 조사는 국내 기업들로부터도 불만을 사는 부분이다. 지식재산권 보호도 마찬가지다. 법률시장 역시 국회에서 이행법안이 통과됐지만 외국로펌 지분을 49% 이하로 제한하며 미국의 항의를 초래한 바 있다. 이런 부분은 미국의 압박 여부를 떠나 한국을 위해서도 마땅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FTA를 맺었으면 그 취지에 맞게 제대로 이행하는 게 맞다. 안에서 자꾸 시장을 닫으려고 하면 경쟁력만 더 떨어질 뿐이다. 미국의 보호무역이나 통상압력으로 볼 게 아니라 한국을 위한 구조개혁의 기회로 받아들이는 게 백번 옳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