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촛불집회 정국] 1987년 '6월 항쟁' 이후 최대 인파…청와대 향한 '평화로운 분노'
입력
수정
지면A2
다시 쓴 촛불의 역사국정 농단 사태에 들끓는 민심이 ‘광장의 역사’를 다시 썼다. 지난 12일 서울 시청 앞 광장과 광화문광장 일대에서 열린 ‘3차 주말 촛불집회’에는 1987년 6월 민주화 항쟁 이래 최대인 100만명(주최 측 추산, 경찰 추산 26만명)의 시민이 모였다. 남북으로는 광화문광장에서 숭례문까지, 동서로는 종각에서 서울역사박물관까지 가득 메운 시민들은 “이것이 민심의 명령”이라며 “박근혜 대통령은 그만 내려오라”고 외쳤다.
시위 참가자들 대부분 전국서 모인 일반 시민들
"이것이 민심의 명령" "박 대통령 퇴진" 한목소리
청와대 1㎞ 앞 '율곡로 행진' 허용은 사상 처음
사상 최대 규모 촛불집회거리 민심의 열기는 촛불집회를 거듭할수록 더욱 뜨거워지고 있다. 3차 촛불집회 참가 인원은 주최 측 추산으로 100만명에 달했다. 지난달 29일 1차 집회(주최 측 2만명, 경찰 1만2000명)와 이달 5일 2차 집회(20만명, 4만5000명) 규모를 크게 뛰어넘었다. 역대 최대 촛불집회로 꼽힌 2008년 6월10일 미국산 소고기 수입 재개 반대 집회(주최 측 70만명, 경찰 8만명)의 기록도 깼다. 100만명의 인파가 서울에 모인 건 1987년 6월10일 ‘6월 항쟁’ 이후 처음이다.
박 대통령의 거듭된 대국민 사과도 소용이 없었다. 박 대통령은 지난달 25일과 이달 4일 두 차례 국민에게 머리 숙여 사죄했다. 하지만 시민들은 “최순실 국정 농단 사태의 몸통은 박 대통령”이라며 “사과 말고 사퇴하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집회 참가자 다수는 일반 시민이었다. 민중총궐기투쟁본부·백남기투쟁본부·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등 1503개 단체의 연합체이자 이번 시위를 주최한 ‘박근혜 정권 퇴진 비상국민행동’이 동원한 참가자는 전체의 20% 안팎인 20만명가량으로 파악됐다. 대구 부산 광주 제주 등에서도 10만여명(주최 측 추산)이 상경한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로 향하는 전세버스가 동나고 서울행 KTX 표도 거의 매진됐다.
2002년 미군 장갑차 사고로 숨진 효순·미선양 추모 집회를 시작으로 올해 15년째를 맞은 촛불집회가 뜨거운 민심의 해방구로 자리 잡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2004년 3월엔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탄핵을 반대하는 대규모 촛불집회가 열렸다.시민들 ‘비정상의 정상화’ 요구
시민들이 표출한 분노의 중심엔 “사회 정의가 사라졌다”는 문제의식이 있었다. 집회에 나온 시민들은 박 대통령을 규탄하면서 역설적으로 그가 강조해온 ‘비정상의 정상화’라는 캐치프레이즈를 사용했다. 청계천 인근 일민미술관 앞에서 만난 김진규 고려대 노어노문학과 교수(50)는 “사회가 공유해온 보편적 가치와 상식이 무너지고 비정상이 정상처럼 여겨지는 걸 보며 희망을 잃어버린 사람이 너무 많다”며 “민심이 바라는 건 박 대통령이 강조한 대로 ‘비정상을 정상화하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 고양시 지도중학교 1학년 주정연 군(13)은 “비리를 막아야 할 대통령이 정작 비리의 중심에 있었다”며 “우리나라가 정상이 아니라는 생각에 친구 4명과 함께 집회에 왔다”고 했다.촛불을 든 시민들은 광화문 누각 앞을 지나는 대로이자 청와대를 눈앞에 둔 율곡로까지 행진 반경을 넓혀 박 대통령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였다. 율곡로에서 대규모 시위 행진이 허용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집회 주최 측은 정동로터리와 안국동로터리 등을 거쳐 율곡로와 사직로를 포함한 경복궁역 부근 내자동로터리까지 행진하겠다고 신고했다. 하지만 경찰은 교통 소통 등을 이유로 광화문 세종대왕상 부근을 행진의 마지노선으로 설정했다. 투쟁본부 측은 서울행정법원에 집행정지 신청을 냈고 법원이 이를 받아들였다.
경찰은 272개 중대 2만5000여명을 투입해 현장 관리에 나섰다. 대규모 폭력사태는 일어나지 않았지만 내자동로터리에서 밤샘 대치가 이어지며 경찰 4명과 시민 26명이 다쳤다. 해산명령에 불응하고 도로를 점거하거나 경찰관을 폭행한 23명의 시민은 경찰에 연행됐다. 주최 측은 오는 19일과 26일에도 주말 촛불집회를 이어갈 계획이다.
마지혜/황정환 기자 loo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