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마다 '돈 버는 산림' 키운다
입력
수정
지면A30
경제림 늘리는 산림청
방치된 전국 사유림 활용
선도 산림경영단지 조성
10년간 150억원 투자
임업인 소득 증가 기대

산림청은 2005년 지정한 경제림 450개 단지(292만㏊)를 387개 단지(234만㏊)로 축소 조정했다고 5일 발표했다. 경제림 중 국유림 105개 단지(58만㏊)를 112개 단지(66만㏊)로 늘린 대신 사유림 345개 단지(234만㏊)를 275개 단지(168만㏊)로 줄여 산주의 산림경영 효율성을 높였다.한국 산림면적은 전 국토의 64%인 634만㏊다. 이 중 국·공유림이 33%인 209만㏊를 차지한다. 나머지 67%인 425만㏊가 사유림이다. 사유림 경영 활성화가 임업 발전의 열쇠를 쥐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전체 사유림 산주 212만명 중 경영에 관심이 없는 부재산주가 56%를 차지한다. 소유 규모도 2㏊ 미만을 보유한 산주가 전체의 85%에 달해 산림경영으로 수익을 창출하기 어려운 구조다.

임업 선진국에서는 산주 협업을 통해 산림자원의 활용가치를 높이고 있다. 오스트리아 산주들은 농업 상공회의소에 의무적으로 가입해 경영협의체를 구성한다. 2㏊ 미만을 소유한 산주 8만명이 가깝게 붙어 있어 임도(산에 낸 도로) 등을 공유하면서 생산성을 높이고 있다.
일본은 2020년까지 목재 자급률 50% 달성을 목표로 영세 산림소유자, 산림조합, 민간사업 단체 등을 모아 산림사업을 펼치고 있다.
경제림 소득 외에 임산물 및 산림복지도 활성화될 것으로 산림청은 예상했다. 경제림 구획 조정으로 청정임산물 생산액은 지난해 1조9442억원에서 2020년 2조3000억원으로, 산림복지 서비스 수혜 인원은 2000만명에서 4000만명으로 늘 것으로 조사됐다.산림청 관계자는 “내년부터 산주의 사업 추진, 벌채 및 정산에 이르는 절차를 주도하는 산림플래너 전문가를 양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