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의 늪…대학입학 대상자 10년 뒤엔 17만명 줄어든다
입력
수정
지면A2
통계청 '장래인구추계'저출산 심화로 학령 인구(만 6~21세)가 예상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 추세대로라면 초등학생은 10년 후 22만명이 줄고, 대학 입학 대상자(만 18세)도 지금보다 17만명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현재 대학 정원이 그대로 유지된다면 대학들은 신입생 8만명을 못 채우게 된다. 생산가능인구(만 15~65세)도 올해를 정점으로 내리막길로 접어들어 미래학자들이 예상한 ‘인구절벽’이 현실로 닥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텅 비는 교실 나올 수도통계청은 이 같은 내용의 ‘2015~2065년 장래인구추계’를 8일 발표했다. 통계청은 5년마다 장래인구를 분석해 내놓고 있다. 이번 추계안에 따르면 국내 총인구는 2031년에 5296만명으로 정점을 찍고 감소세로 돌아설 것으로 추정됐다. 저출산에도 불구하고 5년 전 추계보다 정점 시기가 오히려 1년 늦춰졌다. 이전 추정 때보다 기대수명과 국내에 유입된 외국인 인구가 늘어난 영향이 컸다.
예상보다 가파르게 감소하는 학령인구
대학 구조조정 안하면 10년 뒤 정원 8만명 못채워
생산가능인구 올해 정점…'인구절벽' 현실화
하지만 학령 인구는 예상보다 빠르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867만명에서 2026년 700만명으로 10년간 167만명이 감소한다. 5년 전 추계에선 같은 기간 145만명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는데, 이번 전망에선 감소 폭이 22만명 더 늘었다. 초등학생(만 6~11세)만 보면 10년 뒤인 2026년에 269만명을 유지할 것으로 5년 전에 통계청은 예측했다. 하지만 이번에는 247만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정원 못 채운 대학 속출할 듯이지연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학령인구가 5년 전 전망보다 줄어든 것은 출산율이 예상보다 빠르게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학령인구 급감으로 대학 진학 대상자는 올해 65만명에서 2026년 48만명으로 17만명 감소한다. 현재 대학 입학 정원은 약 56만명으로 이대로 유지하면 10년 후엔 정원 8만명이 남아돌게 된다. 이 과장은 “학과 통폐합 등 대학 구조조정을 추진하지 않으면 예상보다 심각한 문제가 벌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생산가능인구 내리막길경제활동 주체인 생산가능인구는 올해가 정점(3763만명)으로 내년부터 감소하기 시작한다. 2020년부터는 속도가 더 빨라진다.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가 고령인구(65세 이상)로 유입돼서다. 생산가능인구는 2020년대 연평균 34만명 줄고, 2030년대에 접어들면 매년 44만명 감소한다는 게 통계청 추산이다. 50년 뒤인 2065년에는 2062만명으로 지금의 반토막(55.1%) 수준에 그칠 전망이다.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들면 노동력 감소, 소비 축소 등에 따른 직접적인 경제 충격뿐 아니라 연금납입 부족, 부양비 증가 등 여러 가지 사회적인 문제들이 파생된다.
하지만 일각에선 생산가능인구 통계가 장기 인구 변화 흐름과 괴리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급속한 고령화와 기대수명 연장으로 만 65세 이상 고령자 가운데 일자리를 갖고 생산에 참여하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는데, 이런 추세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김주완 기자 kjw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