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고 있는 가스 발전소 넘치는데…미국산 셰일가스 더 사오라고?

현장에서

분통 터지는 가스기업들

LNG가동률 추락·판로도 막혀
"현실도 모르는 소리 말라"

주용석 산업부 기자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3일 “미국과 셰일가스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가스업계 최고경영자(CEO)들에게 주문하자 가스업계 일부에선 “황당하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주 장관의 주문은 한국가스공사, SK E&S, GS에너지, SK가스, E1 사장들과의 회동에서 나왔다.

주 장관은 이날 “미국 트럼프 정부가 셰일가스 수출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며 “우리 기업의 셰일가스분야 협력을 적극 지원 하겠다”고 강조했다. 가스업계는 주 장관의 발언을 ‘국내 가스업계가 미국 셰일가스를 더 도입해야 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이고 있다.하지만 가스업계 관계자들은 “지금도 놀고 있는 가스발전소가 수두룩한데 셰일가스를 더 들여오라는 건 앞뒤가 안 맞는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셰일가스는 대부분 액화천연가스(LNG)로 LNG발전에 쓰인다. LNG발전소가 ‘팡팡’ 돌아간다면 업계가 셰일가스 도입을 마다할 이유가 없다.

하지만 현실은 정반대다. 국내 LNG발전소 가동률은 올 상반기 평균 36%에 그쳤다. 역대 최저 수준이다. 일부 발전소는 가동률이 10%에도 미치지 못한다. 석탄발전소 가동이 늘면서 LNG발전소 가동률은 2013년 67%, 2014년 53%, 지난해 40%로 계속 추락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기존 계약 물량외에 미국산 셰일가스 도입을 더 늘릴 이유가 없다는 게 LNG발전사들의 설명이다.

남는 셰일가스를 도시가스 회사에라도 팔 수 있으면 또 모른다. 하지만 이마저도 ‘철벽 규제’에 막혀 있다. 현행법상 LNG발전사가 수입한 LNG는 자체 발전소 가동에만 쓸 수 있다. 도시가스 회사에 LNG를 팔 수 있는 곳은 한국가스공사뿐이다. 산업부는 이런 문제점을 고치기 위해 과거 ‘발전사가 사온 LNG의 10%를 도시가스 회사에 팔 수 있게 하자’는 법안을 발의했다. 하지만 가스공사 노조의 반발로 법안 도입은 무산됐다.물론 트럼프 정부 출범을 앞두고 주무장관이 대응책을 찾는 건 당연한 일이다. 미국산 셰일가스 도입을 늘리면 과도한 대미(對美) 무역흑자를 줄여 한·미 관계 개선에 도움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그것도 어디까지나 현실과 부합할 때 얘기다.

가스발전소가 놀고 있고 남는 가스를 팔 곳도 없는데 가스 도입을 더 늘릴 기업이 어디 있겠나. “트럼프 정부 출범을 앞두고 정부가 뭔가 보여주려고 쇼를 하는 것 같다”는 냉소적인 반응이 나오는 이유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