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al View & Point] 다이슨과 애플의 공통점은?
입력
수정
지면B2
경영학 카페
다이슨, 진공청소기 시제품 5127번째까지 제작 후 상용화
애플, 터치키보드 만들기까지 실패와 개선 끝없이 반복
'창조'의 성공은 재능이 아니라 역경에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달려
이혜숙 < IGM 세계경영연구원 교수 >

세계적인 소설가 어니스트 헤밍웨이는 ‘무기여 잘있거라’의 결말을 서른 아홉 번이나 고쳐 쓴 뒤 책으로 출간했다. 영화감독 알프레드 히치콕은 ‘싸이코’의 샤워 신을 일흔 여덟 번이나 재촬영을 거듭한 끝에 충격적인 분위기를 생생하게 살릴 수 있었다. ‘악성’이라 존경받는 베토벤도 교향곡을 쓰는 과정에서 지우고 고친 흔적을 악보에 수도 없이 남겼다.

발명가 제임스 다이슨(James Dyson)은 먼지봉투가 꽉 차면서 흡입력을 잃는 진공청소기 때문에 짜증이 났다. 이 문제를 어떻게 풀까 고민하며 차를 몰던 중 ‘원심분리’ 방식으로 먼지를 없애는 공장 옆을 지나게 됐다. 집진기라 불리는 원심분리기 장치가 공기를 회오리처럼 빨아들여서 먼지와 티끌 같은 이물질이 아래로 떨어지게 하는 원리였다. 이 순간 다이슨은 필터를 통해 먼지와 공기를 빨아들이는 대신 집진기를 사용해 진공청소기를 개발하자는 생각을 하게 된다.집진기를 이용한 먼지 추출의 장점은 분명하다. 막힐 필터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흡입력을 떨어뜨릴 요인이 생기지 않는다. 다이슨은 판지와 분해한 진공청소기를 이용해서 머릿속에 떠올린 먼지봉투 없는 청소기를 만들었지만 실패했다.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시도도 성공하지 못하기는 마찬가지였다. 그는 수많은 문제에 부딪혔다. 세계에서 가장 작은 집진기를 만들어야 했고 그 집진기는 약 100만분의 1m 크기의 먼지 입자를 흡입해야 했다. 더불어 가정용 및 대량 생산에 적합해야 했다. 집진기 기반 진공청소기가 완성되기까지 5년 이상의 시간이 흘렀고, 다이슨은 5126개의 시제품을 만들었다. 5127번째 시제품을 제작하고 나서야 상용화에 성공했고, 이 청소기는 다이슨에 50억달러가 넘는 부를 안겨줬다.
다이슨과 애플은 문제를 발견하면 한 번에 완전하게 해결하지는 못하더라도 즉시 무엇이든 만들어 보고 개선점을 찾는 작업을 반복했다. 그들은 “만들고 부수고 다시 만드는 시행착오 과정은 혁신의 필수”라고 강조했다.
창조자는 실패를 다르게 정의한다. 창조란 모퉁이를 돌 때마다 나타나는 엉뚱한 방향이고 길의 끝이 보일 때 다시 막다른 골목이 나타나는 기나긴 여정이다. 창조의 성공 여부는 우리가 얼마나 창조적 재능을 타고 났느냐가 아니라 창조의 역경에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달려 있다.
이혜숙 < IGM 세계경영연구원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