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전쟁' 나선 미국] 글로벌 금융시장 혼돈 속으로…달러값 대선 전 수준으로 '추락'
입력
수정
지면A3
'트럼프 리스크' 다시 부각
다우지수 급락세로 반전
안전자산 미국 국채·금값 급등

트럼프 대통령과 피터 나바로 백악관 국가무역위원회(NTC) 위원장이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약속이라도 한 듯 한목소리로 중국과 일본, 독일을 겨냥해 동시다발적 ‘통화전쟁’을 선포하자 통화가치는 급등락했다.

1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도 12원10전 급락해 출발했다. 이후 달러 매수세가 커져 4원 떨어진 달러당 1158원10전으로 거래를 마쳤다. 종가 기준으로 지난해 11월10일(1150원60전) 이후 83일 만의 최저치다.월가의 한 외환전문가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발언에 대해 “플라자합의를 미국이 다시 추진하려는 것같이 들렸다”고 말했다. 달러 강세 원인이 이들 교역국의 환율 조작에 있으며, 이로 인해 미국의 무역수지 적자 증가, 미국 내 일자리 감소, 저성장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인식이 달러 약세를 부추겼다는 설명이다.
대선일 이후 뉴욕증시를 달궈온 ‘트럼프 랠리’도 ‘트럼프 공포’로 돌변했다. 지난달 25일 역사상 처음으로 20,000선을 돌파한 다우지수는 이날 107.04포인트(0.54%) 하락한 19,864.09에 마감했다. 연이틀 세 자릿수 폭락세를 이어갔다. 지난 1월에만 2.6% 떨어졌다. 트럼프 대통령의 반(反)이민 행정명령 서명과 보호무역주의 정책이 본격화하면서 투자심리를 급속히 냉각시켰다.
미국 CNBC 방송은 월가 이코노미스트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중 51%가 보호무역주의를 미국 경제 성장의 최대 위협으로 꼽았다고 전했다.안전자산으로 통하는 미국 국채와 금값은 급등했다. 이날 미 국채 10년물 수익률은 0.042%포인트 하락한(채권가격 상승) 연 2.446%로 마감했다.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금 선물가격은 1.3% 상승한 온스당 1211.40달러로 올랐다. 지난달 월간 기준으로는 5.2% 급등하며 지난해 6월 이후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뉴욕=이심기 특파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