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의 향기] 안개가 걷히고 미스터리 제국이 펼쳐졌다
입력
수정
지면E1
꽃청춘도 꽃중년도 가고 싶은 페루 마추픽추
레고블록처럼 쌓은 돌벽·신기에 가까운 '12각돌'…혹시 외계인의 장난?
젊은 봉우리 '와이나픽추'·나이 든
봉우리 '마추픽추', 마주보며 세월을 견디고…
'세계의 배꼽' 쿠스코 거리엔 머리를 길게 땋은
'잉카의 후예' 들이 골목길 거닐고…
잉카제국 미스터리 'ing'
가이드가 가장 많이 하는 말은 "~였을 것이다"
마추픽추 발굴 30%뿐…70%는 여전히 땅속에

리마(페루)=글·사진 최갑수 여행작가 ssoochoi@naver.com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마추픽추

마추픽추는 페루 남부 안데스 산맥에 있는 유적으로 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 목록에도 등재돼 있다. 안데스 산맥의 해발 2430m에 세워진 잉카의 고대 도시로, 15~16세기에 걸쳐 남아메리카 대륙을 지배한 잉카족이 살았다. 잉카제국 멸망 후 400년 동안 숨어 있다가 1911년 미국 고고학자이자 예일대 교수인 하이럼 빙엄이 발견하면서 그 존재를 드러냈다.당시 산꼭대기에 숨겨진 도시가 있다는 말을 주민에게 들은 빙엄은 열한 살짜리 꼬마 가이드를 따라 올라갔다가 이 신비로운 고대도시를 발견했다. 빙엄이 발견했을 때 도시는 숲으로 뒤덮여 있었다. 우리가 마주하는 지금의 마추픽추는 오랜 세월 복원한 것이다. 물론 당시의 모습 그대로다. 더 놀라운 사실은 현재 발굴된 것이 전체의 30% 수준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나머지 70%는 여전히 묻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1911년 발견 당시 두세 가족이 살고 있었다고 한다.
레고 블록을 쌓은 듯한 정교한 벽
마추픽추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건물은 태양의 신전이다. 반원형 건물인데 신전 돌벽에는 두 개의 창문이 나 있다. 정확하게 남쪽과 북쪽을 향하고 있는데, 동지와 하지 때면 햇빛이 창을 통해 들어와 신전의 제단을 비춘다고 한다. 태양의 신전 위에는 거대한 돌을 길쭉하게 깎아 만든 석조물이 보이는데, ‘태양을 잇는 기둥’이란 뜻의 인티파타나다. 전문가들은 해시계였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마추픽추를 안내하는 가이드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말은 ‘~였을 것이다’다. 기록으로 남은 역사가 없는 까닭에 마추픽추에 대한 모든 설명은 ‘추정’일 뿐이다. 가아드마다 마추픽추에 대한 설명이 조금씩 다른 것도 이 때문이다.잉카 초대 황제 파차쿠티의 여름 별장(?)
마추픽추는 잉카인의 신기에 가까운 돌 다루는 솜씨와 잉카에 정복돼 노예가 된 부족들의 피와 땀이 더해진 결과다. 잉카는 뛰어난 문명을 자랑했지만 철과 화약, 문자, 바퀴가 없었다. 그렇다면 도대체 바퀴도 없이 이 엄청난 크기의 돌덩이, 그것도 20t이 넘는 돌들을 해발 2400m의 산비탈까지 어떻게 수십㎞ 밖에서 옮겨왔을까. 산에 있던 바위를 깼다고도 하고, 통나무를 밑에 깔고 밀어 아래서부터 가져왔다는 설명도 있지만 이 역시 모두 추측일 뿐이다. 잉카인과 노예들은 파차쿠티가 죽은 뒤에도 파차쿠티가 환생할 것이라고 믿고 마추픽추 조성 노역에 시달렸다. 그들은 침략한 스페인 군대가 쿠스코에 있던 파차쿠티의 미라를 불태우자 마침내 마추픽추를 떠났다고 한다.
마추픽추에 닿기까지 여러 도시를 거치는데, 출발점이 되는 도시가 쿠스코다. 잉카제국을 멸망시킨 스페인의 정복자 프란시스코 피사로가 1535년 리마로 수도를 옮기기 전까지 잉카제국의 수도로 군림했던 곳이다. 원주민이 쓰는 케추아어로 ‘세계의 배꼽(중심)’이란 뜻이다.
당시 잉카제국은 페루를 비롯해 에콰도르와 볼리비아, 칠레 북부까지 차지한 대제국이었다. 쿠스코 인구만 100만명이었다. 현재 인구가 150만명인 것을 감안하면 그 규모와 영화를 짐작할 수 있다. 쿠스코에서 태평양 연안까지 4000㎞에 달하는 도로까지 나 있었다. 이 길 중 일부가 지금의 ‘잉카 트레일’로 조성돼 전 세계 도보 여행자를 불러들인다. 쿠스코가 스페인 침략자들에게 정복당한 후 도시는 잉카 문명에 스페인풍이 더해져 새롭게 재탄생한다. 이 아름답고 신비로운 도시는 그만의 독특한 풍경으로 채색돼 여행자들을 매료시킨다. 넓게 베란다를 내고 스페인 특유의 주황색 지붕을 얹은 원색의 이층집 사이를 전통복장을 입은 원주민들이 걸어다니는 풍경은 쿠스코 아니면 어디에서도 만날 수 없는 풍경이다.
도시 곳곳에 자리 잡은 성당과 교회, 수도원 등도 이색적인 아름다움을 자랑한다. 스페인 정복자들은 잉카 시대에 만들어진 건물들을 파괴하고 그 위에 그들의 건물을 지었다. 대표적인 건축물이 산토도밍고 성당이다. 스페인 정복자들은 코리칸차(태양의 신전)를 약탈한 뒤 그 위에 성당을 지었다. 이 때문에 성당 안에 신전 건물 일부가 남아 있다. 1650년과 1950년 쿠스코에 대지진이 일어나면서 산토도밍고 성당이 무너졌는데, 그때 코리칸차가 그 존재를 드러냈다. 무너진 스페인식 건물 아래 잉카의 거대한 돌들이 제자리를 지키고 있었던 것이다.
마추픽추에서도 느낄 수 있지만 잉카인의 돌 다루는 기술은 신기에 가깝다. 돌들을 면도날로 잘라내듯 정교하게 다듬어 각을 맞추고 하나의 거대한 건축물을 조각조각 이어 붙인다. 잉카인의 돌 다루는 기술을 가장 가까이에서 살펴볼 수 있는 곳이 ‘12각돌(La Piedra de Los Doce Anquios)’이다. 쿠스코 광장 뒤편 골목에 있는 ‘12각돌’은 고대 석조기술의 절정을 보여준다. 크기도 모양도 일정하지 않은 돌들이 주변의 돌과 빈틈없이 맞아떨어지며 하나의 벽을 이룬 광경은 그저 감탄스럽기만 하다. 1950년 발생한 쿠스코 대지진에도 이 벽은 약간의 뒤틀림조차 없었다고 한다. 반면 스페인 침략 후 지어진 건물 대부분은 무너져 내렸다.
쿠스코 뒤편 산자락에 자리 잡은 요새 겸 신전인 삭사이와만(3700m)의 거석들도 경이로움을 느끼게 한다. 1536년 잉카의 부흥세력과 스페인군이 최후의 전투를 벌인 곳으로 유명하다. 잉카인들은 이곳에 최대 120t에 달하는 돌을 옮긴 뒤 높이 7m, 길이 500m에 달하는 성벽을 세웠다. 게다가 지진에 견디게 하기 위해 성벽을 지그재그로 쌓았다니 그 기술에 찬탄만 나온다. 이곳에서는 쿠스코를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다. 안데스의 거친 산들이 어깨를 맞대고 늘어서 있고 그 산비탈을 따라 들어선 쿠스코가 손에 잡힐 듯 가깝게 보인다.
페루 여행정보
리마에서 쿠스코까지 국내선 비행기로 간 다음 마추픽추까지 기차나 버스를 이용해 간다. 스페인어로 ‘따뜻한 물(온천)’이란 뜻의 아구아스 칼리엔테스는 마추픽추 아래에 자리 잡은 마을. 숙박시설과 레스토랑이 몰려 있다.
이 마을에서 마추픽추 유적 입구까지 버스가 운행한다. 버스를 타고 깎아지른 산비탈을 굽이굽이 올라 30분 정도 가면 유적이다. 마추픽추는 유적 보존을 위해 매일 한정된 인원만 입장시킨다.
온라인(ticket-machupicchu.com)으로 미리 예매하는 것이 낫다. 매일 오후 1시까지만 입장할 수 있으니 참고하자.아구아스 칼리엔테스에 있는 식당 ‘출피(Chullpi)’에서 페루 전통 키노아 볶음밥인 ‘차우파 데 키노아(Chaufa de Quinua)’, 소고기 볶음요리인 ‘로모 살타도(Lomo Saltado)’, 남미인들이 즐겨 먹는 각종 허브로 만든 치미추리 소스(Chimichurri sauce)를 뿌린 닭고기 요리 등을 맛볼 수 있다.
쿠스코 등 고산지대에서는 고산증도 주의해야 한다. 천천히 움직이는 것이 좋다. 코카차를 수시로 마시는 것이 도움이 된다. 페루관광청 한국대표홍보사무소 (070)4323-25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