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미국·중국의 정상회담 탐색, 한국은 어디에 있나

트럼프 미 대통령이 어제 방미 중인 양제츠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부총리급)과 만났다. 트럼프가 대통령 취임 후 중국의 각료급 인사와 만난 건 처음이다. 이들은 서로의 핵심적 이익을 존중하고 협력을 강화하는 데 뜻을 같이했다고 한다. 스파이서 백악관 대변인은 “안보상 공통 이익에 대해 서로 말하기 시작하는 기회가 됐다”고 설명했다. 미·중 정상 간 만남이 조기에 성사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늦어도 5월까지 정상회담이 이뤄질 것이라고 전망하는 정도다.

남중국해나 북한, 테러, 중동문제 등 다양한 현안이 양국에 가로놓여 있다. 자유 무역과 미국 우선주의 등 경제 갈등도 첨예하다. 더구나 트럼프는 전년 대비 10%나 끌어올린 국방 예산을 의회에 요구하고 있다. 남중국해의 전력 강화가 주목적이라고 한다. 중국으로선 신경이 곤두설 수밖에 없다. 잇단 핵실험과 미사일 도발을 감행한 북한을 어떻게 처리할지도 양국의 골칫거리다.정작 미국의 다국적 기업이 가장 많이 활동하는 국가가 중국이다. 미국과 중국은 정치와 경제가 복잡하게 얽혀 있다. 외교적 갈등이나 물리적 충돌 없이 상호 공존을 모색하고 싶은 게 이들의 속셈이다. 트럼프와 시진핑이 20일 전 전화통화에서 충돌과 긴장을 피하고 상호 ‘윈·윈’ 협력 모색에 합의한 것도 이런 배경에서다. 외교가에선 미국의 대중 외교정책을 ‘공세적 견제와 균형’ 전략이라고 해석한다.

양국 간 메가 딜의 기류도 감지된다. 양국의 전략적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면 전혀 새로운 차원의 국제 관계가 형성될 수도 있다. 북한 문제에선 더욱 그렇다. 아베 일본 총리는 지난달 트럼프와 정상회담에서 동맹관계를 확인하고 안보협력에도 충분한 의견을 나눴다. 한국만이 왕따 되는 기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