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문화상 받은 '무용계 원로' 김백봉 경희대 명예교수 "기쁨으로 승화시킨 우리 춤 인정해줘 기뻐"
입력
수정
지면A32
'부채춤' '화관무' 등 600여편 발표“난 밝고 행복한 춤을 추구합니다. 어떤 사람은 ‘나라가 어려운데 화려한 옷을 입고 웃으며 춤을 추는 게 어디 있느냐’고 욕을 하기도 했어요. 하지만 내 춤은 사람의 모든 감정을 기쁨으로 승화시킨 것입니다. 6·25전쟁을 통해 그 전엔 상상하지 못한 징그러운 세상을 봤고, 그 전후로도 죽을 고비를 많이 넘겼어요. 그래도 춤이 있었기에 나라는 존재를 지킬 수 있었습니다.”
무용가 최승희의 애제자이며 동서
"춤이란 등불이 희망 놓지 않게 해 줘"
무용가 최승희의 수제자이자 ‘한국 무용계의 원로’로 추앙받는 김백봉 경희대 명예교수(90·사진)는 최근 서울 평창동의 한 카페에서 만나 이같이 말했다. 김 명예교수는 ‘부채춤’ ‘화관무’ 등 창작물 600여편을 발표했다. 1947년 초연된 화관무와 1954년 초연된 부채춤은 일반인에게도 많이 알려졌다.하지만 대다수 사람은 이 춤을 김 명예교수가 안무했다는 사실을 모른다. “왜 다른 나라 춤에는 당연히 남겨져 있는 안무가 이름이 우리 춤엔 없느냐고요? 가장 큰 이유는 춤을 추는 사람을 천시했기 때문입니다. 무용가를 제대로 대접하는 사회가 아니었어요. 그러다 보니 춤의 이름과 동작만 남았고, 누가 췄는지는 제대로 남아 있지 않습니다.”
김 명예교수는 스승이자 손윗동서인 최승희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최승희의 남편이자 월북 문인인 안막(본명 안필승)은 김 명예교수의 남편인 고(故) 안제승 경희대 교수의 형이다. 김 명예교수와 안 교수 부부는 1946년 최승희·안막 부부와 월북했다가 북한의 잦은 간섭과 숙청 위협을 피해 1951년 1·4 후퇴 때 서울로 돌아왔다. 김 명예교수는 최승희를 ‘형님’ 대신 ‘선생님’이라고 불렀다. “그게 편하다”고 했다.
김 명예교수는 “10대 시절 선생님 문하에 들어갔을 때 계속 몸을 반듯하게 세우고 호흡하는 훈련을 했다”며 “나중에 알고 보니 그게 발레의 기본 동작이었다”고 회상했다. “선생님은 발레든 현대무용이든 상관없이 어떤 춤이든 소화할 수 있는 몸을 만들어야 비로소 우리만의 춤을 되살릴 수 있을 거라 믿었어요. 나도 제자들에게 항상 호흡을 강조합니다. 호흡과 동작이 서로 맞지 않으면 춤의 흐름이 끊어지니까요.”김 명예교수는 1일 재단법인 3·1문화재단(이사장 김기영)으로부터 제58회 3·1문화상 예술상을 받았다. 그는 “상을 받아서 기쁜 이유는 이제 우리 춤이 과거와는 확연히 다른 차원의 대우를 받게 됐다는 걸 실감하기 때문”이라며 “가족과 제자들, 춤을 아껴 주는 모든 사람에게 정말 감사하다”고 소감을 전했다.
“난 그저 춤만 출 줄 알았어요. 춤으로 돈을 버는 방법은 몰랐지요. 살아생전에 우리 춤이 정식 학문으로 인정받을 수 있게 된 게 그저 행복할 뿐입니다. 좀 더 많은 사람이 우리 춤에 관심을 갖고 즐길 수 있도록 노력해야죠.”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