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배치' 쐐기 박은 한·미…대선전 운용 '일사천리'

발사대 2기 반입…병력·나머지 장비도 이달내로
미사일 도발 북한 "주일 미군기지 노린 타격훈련"
중국 "사드배치 결연히 반대…한국·미국 뒷감당해야"
북한이 6일 실시한 스커드 ER로 추정되는 네 발의 탄도미사일 발사 훈련 사진을 7일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을 통해 공개했다. 네 발의 미사일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사되고 있다. 연합뉴스
한·미 양국이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발사대를 국내에 들여오는 등 사드 주한미군 배치 작업을 시작했다. 북한의 군사 도발이 계속되는 데다 조기 대통령 선거 가능성 등 국내 정치의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사드 배치를 서둘러 되돌릴 수 없도록 ‘대못’을 박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국방부와 주한미군사령부는 7일 “대한민국과 미국은 한반도에 사드를 배치한다는 한·미 동맹의 결정을 이행하기 위해 노력해 왔으며 그 결과 사드의 일부가 한국에 도착했다”고 밝혔다. 미군은 지난 6일 밤 C-17 수송기로 발사대 2기를 포함한 사드 일부 장비를 경기 오산기지에 공수했으며 다른 주한미군 기지로 옮긴 것으로 알려졌다. 병력과 나머지 장비는 이달 안에 국내에 들어올 예정이다. 이르면 다음달부터 경북 성주에서 작전 운용에 들어갈 것으로 전망된다.사드 1개 포대는 레이더와 통제장치, 6기의 발사대로 구성되며 발사대 1기당 유도탄 여덟 발을 장착하고 있다. 사드 1개 포대의 가격은 약 1조원이며 요격미사일 한 발은 약 110억원에 달한다.

한·미 군당국은 지난달 28일 경북 성주골프장을 롯데 측에서 넘겨받았다. 이후 주한미군지위협정(SOFA)에 따른 부지공여, 관련 설계와 시설공사, 환경영향평가, 착공 등의 순서로 추진할 방침이다. 하지만 부지공여 절차가 진행되기도 전에 사드 장비를 들여왔다.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라는 게 한·미 군당국의 설명이다.

한·미 “북한 핵·미사일 위협 가속화”북한은 지난달 12일 중거리탄도미사일(IRBM) 한 발을 발사한 데 이어 지난 6일 사거리 1000㎞인 스커드-ER 네 발을 동시에 발사하며 위협 수위를 끌어올렸다. 조선중앙통신 등 북한 매체들은 이날 “유사시 일본 주둔 미군기지를 타격할 임무를 맡고 있는 조선인민군 전략군 화성포병부대들의 탄도 로켓 발사훈련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또 “핵전투부 취급질서를 점검했다”며 탄도미사일에 핵탄두를 탑재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해리 해리스 미 태평양사령관은 이날 사드 배치 시작과 관련한 보도자료를 내고 “북한의 계속되는 도발행위는 지난해 한·미 동맹의 한반도 사드 배치 결정을 공고히 할 뿐”이라며 “미국은 대한민국 방어에 대한 굳건한 공약을 지키고 미국과 동맹국을 지킬 만반의 태세를 유지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드 조기 배치로 논란 매듭?한·미는 사드 국내 반입을 중국 측에 통보하지 않았으며 한국의 정치 일정과는 무관하다고 밝혔다. 그러나 안보전문가들은 박근혜 대통령 탄핵과 조기 대통령 선거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 등을 감안해 한·미 군당국이 사드 배치의 속도를 높인 것으로 보고 있다.

한반도 사드 배치가 본격화된 데 대해 중국은 강력 반발했다. 겅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필요한 조치를 결연히 취해 중국의 안보 이익을 수호할 것”이라며 “(사드 배치로) 발생하는 모든 뒷감당은 한국과 미국이 져야 한다”고 말했다. 러시아도 사드 배치에 반대하며 대응 조치를 예고했다. 미하일 울리야노프 러시아 외무부 국장은 이날 “러시아의 군사 계획과 대외정책에 이번 사드 배치를 고려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정태웅 기자/베이징=김동윤 특파원 reda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