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기준금리 인상] 은행대출 많이 낀 재건축·수익형 부동산 '먹구름'

부동산시장 영향
분양권 전매 제한, 중도금 집단대출 규제 등의 충격에서 서서히 벗어나던 부동산시장이 미국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다시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국내 시중은행 주택 담보대출·중도금 집단대출 금리가 연쇄적으로 오르면 부동산 구입 비용이 늘어나는 까닭이다.

박원갑 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수석위원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은 국내 시중금리와 대출금리 상승으로 이어져 부동산시장에 악재로 작용할 것”이라며 “금융비용이 늘어나면 투자 수익률이 떨어져 부동산 거래 침체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금리 인상에 따른 수요자의 실질 부담 증가보다는 심리적인 위축이 더 우려되는 부분이다. 임성환 알리안츠생명보험 WM센터 부장은 “현재 1.25%인 국내 기준금리가 0.25%포인트씩 한두 차례 오르더라도 2%를 웃돌던 2014년과 비교해서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면서도 “청약 1순위 요건 강화와 부동산 관련 대출 억제 등으로 부동산시장이 위축되고 있는 상태에서 금리 이슈가 겹치면 수요자의 매수 의지가 꺾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특히 은행 대출을 많이 낀 재건축 아파트 등 투자상품과 상가·빌딩 등 수익형 부동산이 더 큰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반포주공 1단지와 잠실주공 5단지 등 강남권의 고가 재건축 아파트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셋값 비율)이 20~25% 수준에 그쳐 매입 때 대출 의존도가 높은 편이다. 박상언 유엔알컨설팅 대표는 “금리 인상은 매매가격의 50% 이상을 은행 대출로 마련하는 고가 재건축 아파트와 상가, 빌딩시장에 가장 큰 악재가 될 것”이라며 “공실 우려가 큰 신도시나 도심 외곽 상가, 오피스텔 투자도 신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여기에 유력 대선 후보들이 보유세 강화 등 부동산시장 규제 공약을 쏟아내고 있어 오는 5월9일 ‘장미 대선’ 이후 금리 인상과 입주 물량 증가 등이 맞물려 하반기 부동산시장이 경착륙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새 정권이 부동산 규제를 강화하고 금리 인상까지 겹치면 부동산 소비심리가 위축될 수밖에 없다”며 “입주 물량이 많은 지방 등 수도권 외곽을 중심으로 입주 포기와 미분양 증가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