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 부채감축 '초강수'] 대우조선 살리기 '고육책'…"사채권자도 50% 이상 출자전환해야"
입력
수정
지면A3
3조 추가지원 예정…이르면 내일 회생안 확정금융당국이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등 국책은행을 통해 대우조선해양에 신규 유동성자금 3조원과 이와 별도로 3조원가량의 출자전환을 추진하면서 시중은행 등 다른 채권회사의 고통 분담을 본격 요구하기 시작했다.
정부 "채무재조정 안되면 법정관리" 배수진
"밑빠진 독에 물붓기"…정치권 설득이 관건
![](https://img.hankyung.com/photo/201703/AA.13530413.1.jpg)
금융당국은 곧이어 대우조선 회사채를 보유한 사채권자들에게도 출자전환을 요구할 방침이다. 대우조선은 올해만 9400억원 규모의 회사채를 갚아야 한다. 이 부담을 줄이기 위해 사채 만기를 연장하고, 최소 50% 이상은 출자전환하도록 밀어붙인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현대상선 사채권자는 채권의 50%를 출자전환했다. 대우조선 회사채 1조3500억원 가운데 70%는 국민연금, 우정사업본부, 증권사 등 기관투자가가 보유 중이며 개인투자자 보유분은 30% 남짓이다.
종합하면 3조원 규모의 대우조선 채권을 새로 출자전환하되, 이를 국책은행과 시중은행, 사채권자가 분담하도록 하겠다는 게 금융당국 계획이다. 채권단 관계자는 “출자전환 규모가 3조원가량은 돼야 대우조선이 지금과 같은 ‘수주절벽’에도 버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금융위원회는 자율적인 채무 재조정에 실패하면 대우조선을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로 보낸다는 배수진을 쳤다. 기존 법정관리와는 다소 다른, 프리패키지드플랜(P플랜)이 될 전망이다. 이달 초 설치된 서울회생법원을 통해 절차가 진행되는 P플랜은 법정관리와 워크아웃의 장점을 결합한 채권단 중심의 초단기 법정관리다.
법정관리에 대비해 회생계획안 등 사전 서류 작성 작업도 시작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책은행이 세금을 들여 대우조선에 지원한 자금으로 사채권자 돈을 갚아줄 수는 없다는 이유에서다. 금융당국은 ‘시중은행과 사채권자의 고통 분담이 없으면 법정관리로 갈 수밖에 없다’는 것이 단순한 설득용이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하기로 했다.
다만 대우조선 법정관리는 최후 수단이라는 게 금융당국 얘기다.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기존 수주 계약이 대거 취소될 가능성이 있고, 신규 수주는 사실상 불가능해져 회생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채권은행 관계자는 “대우조선 수주 잔량 108척 가운데 10%만 발주가 취소돼도 심각한 위기를 맞는다”고 말했다.법정관리까지 가지 않더라도 대우조선에 추가 지원한 것은 원칙에 맞지 않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올 수 있다. 금융당국이 2015년 10월 이후 수차례 대우조선에 대한 추가 지원은 없을 것이라는 방침을 밝혔기 때문이다. 당시 4조2000억원을 지원했지만 여전히 회생불능이라는 점에서 밑빠진 독에 물 붓기 아니냐는 비판이 많다.
정치권의 동의도 큰 변수다. 정부 관계자는 “신규 지원안을 마련해도 유력 대선주자가 반대하면 실행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김일규/김은정/안대규 기자 black041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