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에 벼 대신 다른 작물 심으면 돈 준다
입력
수정
지면A1
농식품부, 쌀 생산감축 '고육책' "예산 대비 비용절감 효과 3배"정부가 논에 벼 대신 다른 작물을 심으면 지원금을 주는 ‘쌀 생산조정제’를 추진한다. 공급 과잉으로 초래된 쌀값 하락을 막자는 취지다.
기재부 "시장 왜곡 등 우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21일 “쌀 생산조정제 도입을 위해 이달 중순부터 구체적인 추진 방식을 검토하고 있다”며 “국내외 사례 조사 등을 위한 연구용역도 발주했다”고 말했다. 지난해 수확기 산지 쌀값(80㎏)은 2013년보다 약 26% 떨어졌다. 그 여파로 정부가 농가에 지급하는 변동직불금이 세계무역기구(WTO) 보조금 한도를 사상 처음 초과했다. 농민이 정부에서 미리 받은 공공비축미 대금 일부를 반납하는 초유의 상황도 벌어졌다.농림축산식품부는 시장에 공급되는 쌀을 줄이는 데 드는 각종 비용을 고려하면 생산조정제의 경제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논에 벼 대신 다른 작물을 심는 농가에 ㏊당 300만원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2년간 2700억원을 들여 논 9만㏊를 감축하면 쌀 생산량 46만t을 줄일 수 있다. 쌀 46만t을 공공매입 등의 방법으로 시장에서 격리하는 데 드는 비용은 3800억원에 이른다.
쌀 공급이 감소해 쌀값이 상승하면 정부가 농민에게 지급하는 변동직불금도 2700억원가량 줄어든다. 1600억원이 넘는 재고관리비용도 아낄 수 있다. 2700억원의 예산으로 8100억원의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계산이다.
예산당국은 미온적이다. 농식품부는 작년에도 생산조정제 도입을 검토했으나 기획재정부 반대로 정부 예산안 반영에 실패했다.기재부는 과거 시행된 생산조정제 실패를 문제 삼았다. 한국에서는 2003~2005년, 2011~2013년 두 차례에 걸쳐 생산조정제를 실시했다. 그런데 벼 대신 대체 작물로 콩을 많이 심다 보니 콩값이 급락하는 등 부작용이 있었다.
국회예산정책처도 “쌀값을 수급균형가격보다 높은 수준으로 유지시켜 결국 대체작물 전환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고 부정적 의견을 냈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