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 강화 땐 투자심리 위축…청약 줄면 무주택자에겐 기회"
입력
수정
지면B1
빨라진 대선열차…전문가 전망은

○조기 대선은 단기 악재

1300조원의 가계부채 줄이기가 차기 정부의 큰 과제인 만큼 주택 실수요자의 대출 부담은 더 커질 것이란 우려도 나왔다. 조현욱 현대건설 마케팅팀장은 “금리 상승, 중도금 대출 규제 등으로 이자 부담이 커지고 있어 서민들이 집 사기가 어려워지고 있다”며 “가계부채 억제 정책은 차기 정부에서도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다만 중장기적으로는 별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는 전문가도 많았다. 박원갑 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수석위원은 “정부 정책은 시장 상황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단기적인 변수”라며 “집값을 떨어뜨리려고 하는 정부는 없다”고 강조했다. 김희정 피데스개발 R&D센터 소장도 “일시적으로 정책이 소비심리에 영향을 주지만 큰 흐름에서는 수요와 공급에 의해 집값이 결정된다”며 “공급이 부족한 지역에서 집값이 급락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강남 재건축 ‘촉각’
대선 이후 서울 강남권 재건축시장이 타격을 받을 것이란 의견과 수요가 많아 안정적인 상승세를 이어갈 것이란 의견이 엇갈렸다. 고준석 신한은행 부동산투자자문센터장은 “보유세가 인상되면 강남 재건축시장이 직격탄을 맞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반면 김 소장은 “LH(한국토지주택공사) 등에서 더 이상 대규모 택지 공급을 하지 않다 보니 도시재생, 정비사업 등 도시 내 남아 있는 빈 땅이 중요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조 팀장도 “건설사 입장에서는 조합원이 많아 일반 분양 부담이 적은 강남, 부산 등 재건축시장을 선호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지방 시장은 대체적으로 힘들 것이란 의견이 강했다. 함 센터장은 “지방은 이미 공급 과잉 요인이 반영되며 집값이 조정받고 있다”며 “당분간 이런 조정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지방에 토지를 많이 보유한 투자자들도 보유세가 증가할 경우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많았다.
오피스텔, 상가 등 수익형 부동산은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란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투자 개념이 강한 만큼 ‘주거 안정’을 위한 정책에 포함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다만 이런 투자상품에도 보유세 과세가 더해질 경우엔 시장이 위축될 수 있다는 지적이 많았다.
○무주택자 저점 매수 노려야
차기 정부가 다주택자에 대한 과세를 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다주택자는 ‘부동산 슬림화’에 나서라고 전문가들은 추천했다. 매매가 쉽지 않을 경우엔 주택임대사업자 등록도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함 센터장은 “다주택자가 정책 변화로 보유세를 많이 내면 임대주택으로 전환하는 것을 고려해보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윤아영/설지연 기자 youngmoney@hankyung.com